
UDMY
유데미($UDMY) 사장, 주가 30% 급락 후 7만 달러 규모 자사주 연속 매수...경영진 신뢰 신호
2025.05.19 22:09
AI 점수
연속 매수
C 레벨
요약
- 유데미($UDMY) 사장 휴고 사라진이 주가 급락 후 5월 12일부터 19일까지 총 10,600주(약 $74,000)를 연속 매수하며 경영진의 회사 가치 신뢰를 보여줌
- 2025년 1분기 실적은 예상을 뛰어넘었으며, 특히 기업 부문 매출이 9% 성장한 반면 소비자 부문은 8% 감소함
- 대주주 나스퍼스의 320만 주 매도와 타 임원들의 지속적 매도 행보와 대비되는 사라진의 매수는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경영진의 판단을 시사함
긍정 요소
- 유데미 사장의 3회 연속 내부자 매수는 현재 주가에 대한 경영진의 신뢰를 보여주는 강력한 신호
- 2025년 1분기 실적이 예상을 뛰어넘어 주당 12센트의 조정 수익을 기록, 전년도 3센트와 예상치 10센트 상회
- 기업 부문 매출이 9% 성장하고 기업용 연간 반복 매출(ARR)이 전년 대비 8% 증가한 5억 1,900만 달러 기록
- 순손실이 전년도 1,830만 달러에서 180만 달러로 대폭 감소하여 수익성 개선 진행 중
- AI 기반 재교육 플랫폼으로의 전환과 기업 전략 가속화를 위한 새로운 고위 임원 영입
부정 요소
- 대주주 나스퍼스가 2025년 1월에 320만 주(약 2,500만 달러 규모)를 매도한 것은 장기 투자 신뢰 약화 가능성 시사
- 유데미 CTO와 타 임원들이 2024년 후반부터 2025년 초까지 지속적으로 주식을 매도한 이력
- 소비자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8% 감소하여 B2C 시장에서의 어려움 직면
- 2월 실적 발표 후 급등했던 주가가 4월 초 급락하며 52주 최고치 대비 약 30% 하락
- 코세라, 스킬소프트 등 경쟁사들과의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차별화 필요성 증가
전문가
교육 기술 분야에서 유데미의 기업 부문 성장은 긍정적이나 소비자 부문 부진은 우려됩니다. 휴고 사라진의 내부자 매수는 저평가 인식을 보여주지만, 대주주의 매도와 심화되는 업계 경쟁을 고려해야 합니다. AI 통합과 기업 학습 솔루션 강화는 장기적 성장 전략으로 적절해 보이나, 실행력과 차별화가 관건입니다.
전일종가
$6.83
+0.06(0.89%)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6.95
매수 평단가
$7.9
매도 평단가
$318.41K
매수 대금
$27.27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 공시일 | 내부자명 | 직책 | 거래유형 | 평단가 | 거래대금 |
---|---|---|---|---|---|---|
05/23/2025 | 05/23/2025 | 매도 | $ |
유데미($UDMY)의 사장인 휴고 사라진(Hugo Sarrazin)이 최근 주가 급락 이후 3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자사주를 매수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내부자 거래 공시에 따르면, 사라진 사장은 5월 12일부터 19일까지 3차례에 걸쳐 총 10,600주를 평균 $6.99 가격에 매입했으며, 총 투자 금액은 약 $74,000에 달합니다. 이는 올해 들어 유데미 경영진 중 유일한 매수 행보로, 특히 4월 초부터 이어진 가파른 주가 하락 후 경영진의 회사 가치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유데미는 기술, 비즈니스, 개인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킬 습득과 개발을 위한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2010년 설립된 이 회사는 개인 학습자와 기업 고객 모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시가총액은 약 10억 달러 수준입니다. 코세라(Coursera)와 스킬소프트(Skillsoft) 같은 경쟁사들과 함께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사라진 사장의 매수 거래는 The Sarrazin Revocable Trust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보고서에 따르면 그와 배우자가 수탁자이자 수혜자인 신탁을 통해 주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의 거래는 $6.94에서 $7.00 사이의 가격대에서 여러 번의 거래로 실행되었습니다. 최근 유데미는 기업 전략을 가속화하기 위해 Neeracha Taychakhoonavudh를 최초의 최고 고객 경험 책임자(Chief Customer Experience Officer)로 임명했습니다. 이는 개인 학습자보다 기업 시장에 더 집중하는 전략적 변화를 반영합니다. 또한 유데미는 AI 기반 재교육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유데미 혁신 스튜디오'를 출범시켰습니다. 에듀테크 산업은 AI 통합과 하이브리드 학습 환경으로의 전환이라는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유데미는 이러한 트렌드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유데미는 예상을 뛰어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회사는 주당 12센트의 조정 수익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도의 3센트와 분석가들의 예상치인 10센트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8% 증가한 2억 300만 달러로, 예상치인 1억 9,713만 달러를 초과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기업 부문의 매출이 9% 성장한 1억 2,770만 달러를 기록한 반면, 소비자 부문은 8% 감소한 7,260만 달러를 기록했다는 것입니다. 회사의 조정 EBITDA는 약 2,100만 달러로, 11%의 마진을 나타내며 전년 대비 227% 성장했습니다. 순손실도 크게 개선되어 전년도 1,830만 달러에서 180만 달러로 줄었습니다. 그러나 사라진 사장의 최근 매수 행보 이전에는 회사 내부자들의 매도가 지배적이었습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거래는 2025년 1월 21일 대주주인 나스퍼스(Naspers Ltd)가 진행한 320만 주(약 2,500만 달러 규모) 매도입니다. 이 주식은 나스퍼스의 자회사인 프로서스 N.V.의 자회사 MIH Edtech Investments B.V.를 통해 보유되었습니다. 또한 CTO인 에런 발리는 올해 2월과 3월에 각각 약 69,500주와 10,000주를 매도했으며, 전 사장인 그레고리 스콧 브라운과 CFO 사라 블랜차드도 2024년 후반기에 상당한 규모의 매도 거래를 진행했습니다. 유데미의 주가는 올해 들어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2025년 2월 14일 예상을 뛰어넘는 4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는 31% 급등하여 $10.22에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하락세로 전환되어 4월 초에는 $6.04까지 하락했습니다. 사라진 사장이 주식을 매수한 5월 중순 기준으로 주가는 $7 주변에서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52주 최고치($10.10)보다 약 30% 낮은 수준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최근 실적 개선과 기업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 그리고 경영진의 내부자 매수가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유데미는 2025년 2분기 매출을 1억 9,500만 달러에서 1억 9,900만 달러로, 조정 EBITDA를 2,200만 달러에서 2,400만 달러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7억 7,200만 달러에서 7억 9,400만 달러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AI 통합과 기업 교육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가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기업용 연간 반복 매출(ARR)이 전년 대비 8% 증가한 5억 1,9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은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유데미 사장의 최근 주식 매수는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경영진의 믿음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회사의 기업/기관 고객이 17,200개 이상으로 증가하고 AI 기반 혁신에 집중하는 가운데, 이번 내부자 매수는 투자자들에게 회사의 장기적 전망에 대한 신뢰를 심어줄 수 있는 신호입니다. 그러나 대주주의 대규모 매도와 경쟁 심화, 소비자 부문의 매출 감소 등 여전히 도전적인 요소들이 존재하므로, 투자자들은 향후 실적 발표와 전략적 이니셔티브의 성과를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