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BAC

뱅크오브아메리카($BAC), 버핏의 100억달러 매도 속에서도 견고한 실적...투자자들 혼란

2025.07.09 03:08

AI 점수

요약

  •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2024년 7월부터 현재까지 뱅크오브아메리카 지분을 100억 달러 이상 매도하며 지분율을 13.1%에서 10% 미만으로 축소
  • BAC는 견고한 실적을 유지하며 Q1 2025 EPS 0.90달러로 컨센서스를 상회했고, 향후 12개월 EPS 성장률 17.84% 전망
  • 주가는 52주 고점 근처인 47.15달러에 거래되고 있어 연초 대비 8.59%, 1년 전 대비 18.92% 상승

긍정 요소

  • Q1 2025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며 EPS 0.90달러, 매출 273억 7천만 달러 기록
  • 연준 스트레스 테스트 통과 후 3분기 배당을 26센트로 인상하며 주주 환원 확대
  • 투자은행 부문 보너스 10% 인상 계획으로 사업 전망에 대한 자신감 표출
  •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로 개인금융, 자산관리, 글로벌 뱅킹, 글로벌 마켓 등 안정적 수익 구조 보유

부정 요소

  • 워런 버핏의 연속적인 대량 매도로 시장에 심리적 압박 지속 및 최대 주주 이탈 가능성
  • 현재 주가가 52주 고점(49.31달러) 근처에서 거래되어 추가 상승 여력 제한적
  • 미국의 공격적 관세 정책과 경기 불확실성이 금융업계 전반에 부담 요소로 작용
  • 연준 금리 정책 변화가 핵심 수익원인 순이자이익(NII)에 직접적 영향 미칠 위험

전문가

금융업계 관점에서 버크셔 해서웨이의 BAC 지분 매도는 단순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넘어 금융주에 대한 장기 전망 변화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 금리 환경과 경기 불확실성 하에서 대형 은행들의 수익 구조 변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다만 BAC의 견고한 펀더멘털과 다각화된 수익 구조는 여전히 투자 매력을 유지하고 있어, 단기적 주가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관점에서는 방어적 투자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됩니다.

전일종가

$47.14

-0.00(0.00%)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0

매수 평단가

$40.88

매도 평단가

$0

매수 대금

$10.9B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7/09/2025

07/09/2025

매도

$

뱅크오브아메리카($BAC)를 둘러싼 흥미로운 역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미국 2위 은행이 견고한 실적과 밝은 전망을 보여주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장기 투자자인 워런 버핏이 1년 넘게 지속적으로 지분을 줄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미국 샬럿에 본사를 둔 종합 금융서비스 그룹으로, 개인금융, 자산관리, 글로벌 뱅킹, 글로벌 마켓 등 4개 주요 사업부문을 통해 전 세계 수백만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약 21만 3천명의 직원을 보유한 이 거대 금융기관은 미국 금융업계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움직임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연속적인 매도입니다. 2024년 7월 17일부터 시작된 이 매도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총 매도 규모는 10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버크셔는 2024년 7월 한 달 동안만 약 33억 달러 상당의 BAC 주식을 매도했고, 8월에는 추가로 30억 달러, 9월과 10월에도 지속적으로 지분을 줄였습니다. 그 결과 버크셔의 BAC 지분은 13.1%에서 10% 미만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대량 매도는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버핏은 2011년 BAC에 첫 투자를 시작한 이래 13년간 이 은행을 꾸준히 지지해왔기 때문입니다. 당시 50억 달러 규모의 우선주 투자로 시작된 이 관계는 버크셔를 BAC 최대 주주로 만들었습니다. 그런 버핏이 왜 갑자기 방향을 바꾼 것일까요? 한편, BAC의 실적은 여전히 견고합니다. 2025년 1분기 주당순이익(EPS)은 0.90달러로 컨센서스 예상치를 0.10달러 상회했고, 매출도 273억 7천만 달러로 예상치를 넘어섰습니다. 연간 매출은 974억 5천만 달러, 순이익은 263억 5천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46%에 달합니다. 애널리스트들은 향후 12개월간 EPS가 17.84%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주가 역시 상당한 강세를 보였습니다. 2024년 6월 38달러 후반에서 시작된 주가는 점진적으로 상승해 현재 47.15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는 52주 최고가 49.31달러에 근접한 수준으로, 연초 대비 8.59%, 1년 전 대비 18.92%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그렇다면 버핏의 매도 행위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여러 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합니다. 첫째, 버핏이 BAC 주가가 충분히 올랐다고 판단해 차익을 실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그의 BAC 투자는 막대한 수익을 안겨줬습니다. 둘째, 포트폴리오 다각화나 현금 확보 차원에서 지분을 줄이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버크셔의 현금 보유액은 사상 최고 수준에 달하고 있습니다. 셋째, 그리고 가장 우려스러운 시나리오는 버핏이 금융업계나 전체 경제에 대해 보다 신중한 시각을 갖게 됐을 가능성입니다. 미국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 연방정부 부채 증가, 금리 불확실성 등이 장기적으로 은행업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몇 가지 지표가 있습니다. 먼저 BAC의 순이자이익(NII) 추이입니다.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가 은행의 핵심 수익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둘째, 대출 손실 충당금 변화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경기 둔화 조짐이 나타날 경우 이 지표가 먼저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긍정적 신호로는 BAC가 최근 연준 스트레스 테스트를 무사히 통과했고, 3분기 배당을 26센트로 인상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은행 부문 보너스를 10% 인상할 계획이라고 발표해 사업 전망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하지만 경고 신호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버핏의 지속적인 매도는 그 자체로 시장에 심리적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매도 발표 때마다 BAC 주가는 단기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만약 버핏이 완전히 빠져나간다면 상당한 매도 압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후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낙관적인 경우 BAC는 견고한 실적을 바탕으로 주가 상승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특히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경우 금융주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기본 시나리오에서는 현재 수준에서 소폭 등락을 반복하며 실적 성장에 따른 점진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리스크 시나리오도 있습니다. 버핏의 매도가 완료되거나 경기 둔화 신호가 뚜렷해질 경우 주가는 상당한 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 주가가 52주 고점 근처에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방 리스크에 대한 경계가 필요합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BAC는 여전히 견고한 펀더멘털을 바탕으로 한 투자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버핏이라는 든든한 후원자를 잃을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투자자들은 실적 지표와 함께 버핏의 추가 매도 여부를 면밀히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현재로서는 신중한 관망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됩니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