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PL
텍사스 퍼시픽 랜드($TPL) 이사, 주가 급등락 속에서도 9개월간 매일 매수 '공식 확인표'
2025.05.14 14:58
AI 점수
연속 매수
요약
- 머레이 스탈 이사는 2024년 8월부터 2025년 5월까지 Rule 10b5-1 계획에 따라 거의 매일 소량의 TPL 주식을 꾸준히 매수하는 독특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 TPL 주가는 6개월간 135% 상승 후 현재 고점 대비 20% 조정됐으나, 페르미안 베이슨 토지 자산과 무차입 경영으로 재무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 일부 고위 임원들의 매도가 있었으나, 2025년 1분기 13% 매출 증가 및 다각화된 수익원은 긍정적 요소로, 높은 밸류에이션과 에너지 가격 변동성은 주의할 점이다.
긍정 요소
- 머레이 스탈 이사와 호라이즌 키네틱스의 지속적인 주식 매수는 장기적 가치에 대한 강한 확신을 보여준다.
- 무차입 경영과 4억 6천만 달러의 순현금 보유로 재무적 안정성이 탁월하다.
- 2024년 두 차례의 특별 배당($10)을 실시하는 등 주주 친화적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 수자원 서비스 부문이 1분기에 11% 성장하는 등 수익원 다각화가 진행 중이다.
- 페르미안 베이슨의 광활한 토지 자산으로 일반 에너지 기업보다 유가 변동에 덜 민감하다.
부정 요소
- CAO와 CFO를 포함한 일부 고위 임원들의 주식 매도는 경계감을 시사할 수 있다.
- P/E 비율 67배로 산업 평균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은 단기적 리스크 요인이다.
- 2025년 1분기 조정 EBITDA는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 원유 가격이 7.5% 하락하는 등 에너지 가격 변동성은 여전히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전문가
TPL은 일반적인 에너지 기업과 달리 광대한 토지 자산을 기반으로 한 로열티 모델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무차입 경영과 강력한 현금 보유는 에너지 가격 사이클에 상관없이 지속가능성을 보장합니다. 다만 현재의 높은 밸류에이션은 단기적으로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으나, 수자원 사업 확장과 토지 활용도 증가는 장기적 성장 잠재력을 제공합니다.
전일종가
$1.03K
-0.00(0.00%)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1.15K
매수 평단가
$1.29K
매도 평단가
$2.31M
매수 대금
$3.54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 공시일 | 내부자명 | 직책 | 거래유형 | 평단가 | 거래대금 |
---|---|---|---|---|---|---|
07/15/2025 | 07/15/2025 | 매도 | $ |
텍사스 퍼시픽 랜드($TPL)의 이사 머레이 스탈, 꾸준한 매수로 신뢰감 드러내 텍사스 퍼시픽 랜드($TPL)의 주가가 2024년 하반기부터 2025년 초까지 극적인 상승세를 보인 후 최근 조정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이사회 멤버인 머레이 스탈(Murray Stahl)의 꾸준한 주식 매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스탈 이사는 2024년 8월부터 2025년 5월까지 거의 매일 10-12주씩 꾸준히 매수하는 독특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TPL은 지난 6개월간 주가가 135% 이상 상승하며 2024년 11월 22일에는 주당 $1,726까지 치솟았으나, 현재는 $1,378대로 약 20% 조정된 상태다. 특히 2024년 11월 S&P 500 지수에 편입된 첫날 4.6%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연초 대비 약 25% 상승해 S&P 500 지수의 0.18% 상승률을 크게 앞서고 있다. 텍사스 퍼시픽 랜드는 미국 텍사스주 페르미안 베이슨에 약 87만 에이커의 토지를 보유한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이다. 주요 수익원은 석유 및 가스 로열티, 지역권, 상업용 임대 및 토지 판매이며, 자회사인 텍사스 퍼시픽 워터 리소스를 통해 석유 및 가스 운영사에 수자원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TPL은 무차입 경영으로 현재 약 4억 6천만 달러의 순현금을 보유하고 있어 재무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스탈 이사의 매수 행보가 특히 흥미로운 점은 그의 매수 주문이 대부분 Rule 10b5-1 계획에 따라 사전에 계획된 것으로, 2024년 5월 14일과 11월 21일에 채택된 계획에 따라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단기적인 시장 변동이나 일시적 정보에 반응한 것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의 계획적 매수임을 시사한다. 또한 주목할 점은 대주주인 호라이즌 키네틱스 자산 운용(Horizon Kinetics Asset Management LLC)도 비슷한 패턴으로 지속적인 소량 매수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2025년 2월 28일 공시된 Schedule 13D 수정본에 따르면, 호라이즌 키네틱스는 357만 8,173주(약 16% 지분)를 보유하고 있으며, 스탈 이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일부 고위 임원들의 매도 거래도 관찰된다. 최고회계책임자(CAO) 스테파니 버핑턴은 2024년 11월 210주를 약 29만 달러에 매도했고, 최고재무책임자(CFO) 크리스 스테덤은 2024년 11월 350주, 2025년 3월에는 750주를 매도했다. 또한 임원 미컬 도브스도 2025년 3월 1,150주를 매도한 바 있다. 이러한 임원들의 매도는 일부 이익 실현 목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주가가 크게 상승한 시점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일부 경계감을 표현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TPL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매출 1억 9,600만 달러(전년 대비 13% 증가)와 순이익 1억 2,070만 달러(5.4% 증가)를 기록했다. 그러나 조정 EBITDA 1억 6,940만 달러는 월스트리트의 예상치인 1억 8,000만 달러에 미치지 못했으며, 이는 원유 가격이 7.5% 하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유가 하락 환경에서도 기업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한 것은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에너지 섹터 전문가들은 $TPL이 페르미안 베이슨의 광활한 토지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로 인해 일반적인 에너지 기업들보다 유가 변동에 덜 민감하다고 평가한다. 특히 워터 서비스 부문의 수익이 1분기에 6,900만 달러(전년 대비 11% 증가)를 기록하는 등 수익원 다각화도 진행 중이다. 투자 관점에서 볼 때, 스탈 이사와 호라이즌 키네틱스의 지속적인 매수는 $TPL의 장기적 가치에 대한 강한 확신을 보여주는 긍정적 신호다. 무차입 경영과 함께 2024년에만 두 차례의 특별 배당($10)을 실시한 점도 주주 친화적 정책으로 평가된다. 다만 회사의 P/E 비율이 67배로 높은 편이며, 산업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의 밸류에이션은 단기적으로 일부 압력 요인이 될 수 있다. 향후 $TPL의 성과는 에너지 가격 외에도 자원 개발 활동, 수자원 사업 확장, 그리고 토지 자산의 효율적 활용에 달려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확대를 통한 물 처리 병목 현상 해소와 이를 통한 배럴당 수익 증가는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전망이다. 내부자 거래 패턴과 기업의 재무 건전성, 그리고 장기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종합해 볼 때, $TPL은 단기적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섹터 내에서 차별화된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투자자들은 높은 밸류에이션과 에너지 가격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