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DECK

데커스 아웃도어($DECK) 이사, 주가 50% 급락 중 20만달러 매수...HOKA 성장 모멘텀 주목

2025.06.07 15:44

AI 점수

요약

  • 데커스 아웃도어($DECK) 신디 데이비스 이사가 주가 급락 중 20만 달러 상당 주식 매수로 투자자 관심 집중
  • 관세 우려로 연간 전망 철회 후 주가 50% 급락했지만, HOKA 브랜드 성장과 견고한 펀더멘털 유지
  • Nike 부진 속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와 국제 매출 19.9% 성장으로 장기 성장 잠재력 부각

긍정 요소

  • HOKA 브랜드의 러닝화 시장 점유율 확대와 Nike 대비 경쟁 우위
  • 국제 매출 19.9% 성장으로 글로벌 확장 성공
  • 부채비율 11.02%, 현금 18.9억 달러의 탄탄한 재무 구조
  • ROE 41.82%의 업계 최고 수준 수익성
  • 25억 달러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으로 주주가치 제고 의지

부정 요소

  • 관세 우려로 연간 매출 전망 철회 및 단기 불확실성 증대
  • 1분기 매출 전망이 애널리스트 예상치 하회
  • 높은 운송비와 프로모션으로 총마진 250bp 하락 예상
  • 주가 연초 대비 46% 급락으로 투자심리 악화

전문가

데커스 아웃도어는 관세 우려로 인한 단기 역풍에도 불구하고 HOKA 브랜드의 구조적 성장과 Nike 대비 경쟁 우위, 그리고 견고한 재무 기반을 바탕으로 중장기 투자 가치가 높다고 평가됩니다. 특히 내부자 매수와 국제 시장 확장 성과는 현재 주가 수준에서 매력적인 진입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일종가

$112.39

-4.46(3.82%)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0

매수 평단가

$172.8

매도 평단가

$0

매수 대금

$26.63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7/28/2025

07/28/2025

매도

$

데커스 아웃도어($DECK)가 관세 우려로 인한 급격한 주가 하락 속에서도 한 이사의 주목할 만한 매수 거래가 포착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6월 6일 신디 데이비스(Cindy Davis) 이사가 1,825주를 주당 109.76달러에 매수하며 약 2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매수는 올해 들어 데커스 임원진의 거래 중 유일한 매수 거래로, 같은 날 마하 이브라힘(Maha Ibrahim) 이사가 소량 매도한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이는 주가가 1월 말 223달러 고점에서 현재 105달러 수준으로 50% 이상 급락한 시점에서 나온 매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투자자들은 이를 내부자의 주가 저점 판단으로 해석하고 있다. 데커스는 UGG와 HOKA 브랜드로 유명한 프리미엄 신발 제조업체로, 최근 몇 년간 러닝화 시장에서 Nike의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했다. 특히 HOKA 브랜드는 '맥시멀리스트 러닝화' 트렌드를 주도하며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과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도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회사는 지난 분기 국제 매출이 19.9% 증가한 3억 7,41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와 관세 인상 우려가 주가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5월 22일 회사가 '관세 관련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연간 매출 전망을 철회한다고 발표하자 주가는 하루 만에 16% 급락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아시아 제조 허브에 대한 상호 관세 정책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주요 생산기지를 보유한 데커스에게 직접적인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회사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견고하다. 연간 매출 49.9억 달러, 순이익 9.66억 달러를 기록하며 순이익률 19.38%의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부채비율은 11.02%에 불과해 재무 안정성이 뛰어나고, 현금 보유액도 18.9억 달러에 달한다. 자기자본이익률(ROE) 41.82%는 업계 최고 수준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데커스가 Nike 부진 속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기회를 잡고 있다고 분석한다. Nike가 혁신 부족과 소매업체 관계 악화로 어려움을 겪는 동안, HOKA는 기능성과 편안함을 앞세워 러닝 애호가들 사이에서 '게임 체인저'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UGG 브랜드도 해외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회사 매출 다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데커스의 가장 큰 강점은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차별화다. HOKA의 고성능 러닝화, UGG의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신발, Teva의 아웃도어 샌들 등 각기 다른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브랜드들이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 이는 Nike처럼 단일 브랜드에 의존하는 경쟁사 대비 리스크 분산 효과를 제공한다. 국제 시장 확장도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 분기 국제 매출이 국내 매출(평년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성장률을 보인 것은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한다.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프리미엄 신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데커스의 브랜드들이 현지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 신호다. 단기적으로는 관세 이슈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회사는 1분기 매출 전망을 8억 9,000만~9억 1,000만 달러로 제시했는데, 이는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또한 높은 운송비와 프로모션 증가로 총마진이 250베이시스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장기적 관점에서는 데커스의 경쟁 우위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HOKA 브랜드의 기술적 혁신과 마케팅 역량, UGG의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 그리고 무엇보다 Nike 등 기존 강자들의 부진이 데커스에게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회사는 또한 2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승인하며 주주 가치 제고 의지도 보여줬다. 신디 데이비스 이사의 이번 매수는 이러한 장기적 가치에 대한 확신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관세 우려로 단기 실적 전망이 불투명하지만, 브랜드 경쟁력과 재무 건전성을 바탕으로 한 중장기 성장 잠재력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판단인 것으로 보인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