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CDA
바이오카디아($BCDA) CEO, 주가 53% 급락에도 36만달러 집중매수...3상 임상 '승부수'
2025.07.03 01:15
AI 점수
집단 매수
C 레벨
요약
- 바이오카디아 CEO와 임원진이 6월 30일 하루에만 36만 달러 규모 집중 매수, 경영진의 강한 신뢰 신호
- 3상 임상시험 진행 중인 심부전 치료제 CardiAMP에 대한 애널리스트 목표가 15.50달러로 645% 상승 여력
- 연간 매출 3,000달러, 순손실 839만 달러의 현실과 95만 달러 현금 보유로 추가 자금조달 필요성 대두
긍정 요소
- CEO를 포함한 경영진의 지속적이고 대규모 내부자 매수 (2024년 6월 이후 37차례 중 34차례 매수)
- 3상 임상시험 진행 중인 CardiAMP와 긍정적 안전성 데이터를 보인 CardiALLO 파이프라인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매수' 등급과 15.50달러 목표가로 현재 대비 645% 상승 여력
- 카테터 전달 시스템 미국 특허 획득으로 지적재산권 강화
- 허혈성 심부전이라는 대규모 환자 시장 타겟팅
부정 요소
- 연간 매출 3,000달러에 불과한 극히 제한적 수익 구조
- 839만 달러 순손실과 811만 달러 음의 운영현금흐름으로 지속적 자금 소진
- 95만 달러 현금 보유와 0.36 유동비율로 단기 유동성 위험
- 지난 1년간 53% 주가 하락으로 투자자 신뢰 저하
- 임상시험 실패 시 주가 급락 위험성이 높은 바이오테크 특성
전문가
바이오테크 관점에서 바이오카디아는 전형적인 임상단계 기업의 특성을 보여준다. 3상 시험 진행은 긍정적이나 현금 소진율이 높아 추가 자금조달이 관건이며, 경영진의 지속적 매수는 임상 성공에 대한 내부 신뢰를 시사한다.
전일종가
$2.08
-0.00(0.00%)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1.98
매수 평단가
$2
매도 평단가
$1.01M
매수 대금
$6.51K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 공시일 | 내부자명 | 직책 | 거래유형 | 평단가 | 거래대금 |
---|---|---|---|---|---|---|
07/03/2025 | 07/03/2025 | 매도 | $ |
바이오카디아($BCDA)는 심혈관 질환을 위한 재생의학 치료법을 개발하는 임상단계 바이오테크 기업으로, 캘리포니아 서니베일에 본사를 둔 17명 규모의 소규모 회사다. 주력 제품인 CardiAMP는 허혈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가 단핵세포 치료 시스템으로, 현재 3상 임상시험(CardiAMP HF II)이 진행 중이며 2025년 5월부터 환자 등록을 시작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점은 주가가 지난 1년간 53% 하락한 상황에서도 CEO 피터 알트만을 비롯한 경영진이 지속적으로 자사주를 매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2025년 6월 30일 하루에만 4명의 임원이 총 36만 달러 규모의 주식을 일제히 매수했다. 알트만 CEO는 24,096주(약 5만 달러), 이사인 앤드류 블랭크와 사이먼 스터처는 각각 72,289주(약 15만 달러씩)를 주당 2.08달러에 매수했다. 이러한 대규모 내부자 매수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경영진은 2024년 6월부터 현재까지 총 37차례에 걸쳐 지속적으로 자사주를 매수해왔으며, 그 중 34차례가 매수였고 단 1차례만 매도였다. 알트만 CEO의 경우 2024년 6월 이후 총 31차례 매수를 기록했다. 이는 경영진이 현재 주가 수준을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하지만 재무 현실은 녹록지 않다. 바이오카디아의 연간 매출은 3,000달러에 불과하며, 순손실은 839만 달러에 달한다. 현금 보유액은 약 95만 달러로 제한적이고, 유동비율은 0.36으로 단기 유동성에 우려가 있다. 연간 운영현금흐름이 -811만 달러인 상황에서 추가 자금조달이 불가피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상 진행 상황은 고무적이다. 주력 치료제인 CardiAMP의 3상 시험이 에모리 의과대학 등 여러 기관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동종 세포치료제 CardiALLO의 1/2상 시험에서 안전성 데이터 검토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왔다. 또한 2025년 6월 카테터 전달 시스템에 대한 미국 특허를 획득하며 지적재산권을 강화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여전히 낙관적이다. 평균 목표가는 15.50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약 645%의 상승 여력을 제시하고 있으며, 컨센서스 레이팅은 '매수'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성공적인 임상시험 결과가 나올 경우 주가가 급등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투자자들이 고려해야 할 핵심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CardiAMP 3상 시험이 성공하고 FDA 승인을 받으면서 상업화 단계로 진입하는 경우다. 허혈성 심부전은 상당한 규모의 환자군을 가진 시장으로, 효과적인 치료제가 승인될 경우 매출 급증이 예상된다. 이 경우 애널리스트 목표가인 15달러 수준까지 상승할 수 있다. 기본 시나리오는 임상시험이 예정대로 진행되되 상업화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경우다. 이 경우 추가 자금조달을 통해 임상을 완료해야 하며, 주가는 임상 결과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것이다. 현재 경영진의 지속적인 매수는 이러한 시나리오 하에서도 상당한 상승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위험 시나리오는 3상 임상시험이 실패하거나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다. 바이오테크 특성상 임상시험 실패 위험은 항상 존재하며, 현금 부족으로 인한 운영 중단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주가는 현재 수준보다 크게 하락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바이오카디아는 높은 위험과 높은 수익 가능성을 동시에 가진 투자처다. 경영진의 확신에 찬 지속적 매수와 진행 중인 3상 임상시험은 긍정적 요소지만, 제한적인 현금과 지속되는 손실은 우려 요소다. 위험 감수 능력이 높고 바이오테크 투자에 익숙한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의 소량 비중으로 고려해볼 만한 종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