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BSS
John B Sanfilippo ($JBSS), CEO·COO 동시 매도에도 매출총이익률 3%p 개선...31% 급락 후 반등 기회는?
2025.07.25 21:34
AI 점수
C 레벨
요약
- John B Sanfilippo & Son ($JBSS)은 CEO와 COO가 동일한 날짜에 각각 46만 달러 규모의 주식을 매도하는 등 경영진의 지속적인 주식 매도가 이어지고 있음
- 주가는 2024년 6월 대비 31% 하락했으나, 3분기 매출총이익률이 18.5%에서 21.4%로 크게 개선되어 운영 효율성 향상 신호를 보임
- 견과류 가공업계의 구조적 어려움 속에서도 실적 개선이 나타나고 있어 저평가 구간에서의 투자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
긍정 요소
- 매출총이익률이 18.5%에서 21.4%로 크게 개선되어 원가 관리 효율성이 향상됨
- EBIT가 전 분기 대비 거의 두 배 증가하여 운영 효율성 개선이 확인됨
- 31% 주가 하락으로 현재 저평가 구간에서 거래되고 있어 안전 마진이 확보됨
-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 트렌드가 지속되면서 견과류 시장의 장기 전망은 긍정적임
부정 요소
- CEO와 COO를 포함한 핵심 경영진들의 지속적인 주식 매도로 내부자 신뢰도에 우려 제기
- 분기 매출이 전 분기 대비 감소하여 성장 모멘텀 부족이 확인됨
- 원재료 가격 변동성과 소비자 구매력 감소로 인한 업계 전반의 구조적 어려움 지속
- 명확한 성장 촉매 부재로 단기간 내 주가 반등 동력이 제한적임
전문가
소비재 섹터 관점에서 $JBSS의 매출총이익률 개선은 원가 관리 역량 향상을 의미하지만, 경영진의 연속적인 주식 매도는 내부 전망에 대한 우려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견과류 가공업계는 원재료 가격 변동성이 큰 특성상 안정적 수익성 확보가 핵심 과제이며, 현재 개선된 마진 수준의 지속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전일종가
$68.06
-0.59(0.86%)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84.9
매수 평단가
$88.59
매도 평단가
$594.3
매수 대금
$1.22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 공시일 | 내부자명 | 직책 | 거래유형 | 평단가 | 거래대금 |
---|---|---|---|---|---|---|
07/26/2025 | 07/26/2025 | 매도 | $ |
John B Sanfilippo & Son ($JBSS)은 미국의 대표적인 견과류 가공업체로, Fisher, Orchard Valley Harvest, Squirrel Brand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약 7억 8,800만 달러의 시가총액을 가진 이 스몰캡 기업이 최근 투자자들에게 혼재된 신호를 보내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경영진의 지속적인 주식 매도입니다. 2025년 1월 16일, CEO Jeffrey T Sanfilippo와 COO Jasper Brian Sanfilippo Jr.가 각각 5,158주를 주당 90달러에 매도했습니다. 이는 각자 46만 4,220달러 규모의 거래로, 두 핵심 경영진이 동일한 날짜와 가격에 동일한 수량을 매도한 점이 특이합니다. 2월에는 이사 James J Sanfilippo가 1,004주를 주당 70.67달러에 매도하며 7만 949달러를 현금화했습니다. 이러한 내부자 매도는 주가 하락과 맞물려 있습니다. $JBSS는 2024년 6월 99.59달러에서 2025년 7월 68.66달러로 약 31% 급락했습니다. 특히 2024년 10월 말 82.51달러로 급락한 이후 지속적인 하향 압력을 받고 있어, 내부자들의 매도 타이밍이 적절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적 면에서는 일부 개선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5년 3분기 매출은 2억 6,091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매출총이익률은 18.5%에서 21.4%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원가 관리 효율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합니다. EBIT도 1,466만 달러에서 2,820만 달러로 거의 두 배 증가하며 운영 효율성 개선을 보여주었습니다. 견과류 가공업계는 현재 원재료 가격 변동성과 소비 패턴 변화라는 이중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자 구매력 감소가 프리미엄 견과류 제품 판매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아몬드, 호두 등 주요 견과류의 작황과 가격 변동이 수익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몇 가지 핵심 지표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먼저 매출총이익률이 21%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는 회사의 가격 결정력과 원가 관리 능력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둘째, 추가적인 내부자 매도가 나타나는지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세 차례에 걸친 경영진 매도가 일회성인지 아니면 구조적 문제를 반영하는지 판단이 필요합니다.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원재료 가격 안정화와 함께 프리미엄 견과류 제품에 대한 수요 회복이 나타날 경우, 개선된 매출총이익률을 바탕으로 수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건강식품 트렌드가 지속되면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JBSS의 제품들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장 가능성 높은 기본 시나리오는 현재 수준에서의 실적 유지입니다. 매출총이익률 개선은 긍정적이지만, 매출 성장 둔화와 경쟁 심화로 인해 큰 폭의 성장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주가는 현재 저평가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높으나, 성장 모멘텀 부재로 단기간 내 급반등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주의해야 할 리스크 시나리오는 원재료 가격 급등과 소비 위축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매출 감소와 마진 압박이 동시에 발생하여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인 대규모 내부자 매도가 나타날 경우 투자 심리가 더욱 악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JBSS는 실적 개선 신호에도 불구하고 내부자 매도와 주가 하락으로 투자 매력도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현재 주가 수준에서는 안전 마진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명확한 성장 촉매가 부재한 점이 아쉽습니다. 보수적 투자자들에게는 추가 하락 리스크를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가치 투자자들에게는 저평가 구간에서의 분할 매수를 고려해볼 만한 시점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