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SNBR

슬립넘버($SNBR) 생존 위기 vs 내부자 매수 러시, 현금 135만 달러 남은 상황에서 CEO가 75만 달러 매수한 이유

2025.08.04 20:09

AI 점수

C 레벨

요약

  • 슬립넘버($SNBR)가 심각한 재무 위기에 직면했으나, 내부자들의 지속적인 매수세가 상반된 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 Q2 매출 19.7% 감소, 주당손실 1.09달러로 예상치 9배 악화되며 현금보유액은 135만 달러에 불과
  • CEO와 대주주 스타디움 캐피털이 주가 급락기에도 총 수백만 달러 규모의 매수를 지속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 집중

긍정 요소

  • CEO와 대주주들의 지속적이고 대규모 내부자 매수로 경영진의 회사 전망에 대한 신뢰 확인
  • 스마트 침대 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슬립넘버의 독자적 기술력 및 브랜드 인지도
  •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비용 절감을 통한 수익성 개선 가능성
  • 현재 주가가 과도한 공포로 인해 펀더멘털 대비 저평가되었을 가능성

부정 요소

  • 현금보유액 135만 달러로 몇 개월간만 운영 가능한 극심한 유동성 위기
  • 동일점포 매출 20% 급감과 운영마진 0% 추락으로 사업 모델의 구조적 한계 노출
  • 소비자 경기 침체 장기화 시 고가 매트리스 수요 추가 위축 우려
  • 오프라인 중심 비즈니스 모델이 온라인 전환 트렌드에 뒤처지며 경쟁력 약화

전문가

소비재 순환주 관점에서 슬립넘버는 전형적인 경기민감 가구업체로서 현재 소비 위축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하지만 내부자 매수는 바닥 근처에서의 기회를 시사할 수 있어, 극도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는 고려해볼 만한 역발상 투자처가 될 수 있다.

전일종가

$7.6

+0.46(6.44%)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12.26

매수 평단가

$0

매도 평단가

$6.44M

매수 대금

$0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8/04/2025

08/04/2025

매도

$

침구 전문업체 슬립넘버($SNBR)가 심각한 재무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내부자들의 지속적인 매수세가 투자자들에게 혼재된 신호를 보내고 있다. 현재 주가 7.14달러로 1년 전 16.22달러 대비 56% 급락한 상황에서, 경영진과 대주주들의 역설적 매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슬립넘버는 1987년 설립된 미네소타 기반의 스마트 침대 제조업체로, 조절 가능한 매트리스와 관련 수면 솔루션을 미국 전역 630개 매장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퍼플 이노베이션, 레게트&플랫 등과 경쟁하는 스마트 가구 시장에서 독특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틈새 시장을 확보해왔다. 가장 충격적인 순간은 2025년 3월 5일 Q4 실적 발표였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3% 감소한 3억 7,682만 달러를 기록하며 분석가 예상치를 크게 하회했고, 주가는 하루 만에 39% 폭락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Q2 2025 실적에서 드러났는데, 매출이 19.7% 감소한 3억 2,793만 달러에 그쳤고 주당 손실은 1.09달러로 예상치 0.12달러 손실보다 9배나 악화됐다. 현재 회사의 현금 보유액은 135만 달러에 불과해 시가총액 1억 7,300만 달러 대비 극히 적은 수준이다. 동일점포 매출이 20% 급감하고 있고, 운영마진은 0%로 추락했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슬립넘버의 생존 가능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그런데 내부자들의 행동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들려준다. 2024년 8월부터 시작된 내부자 매수세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스타디움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공격적 매수다. 이 대주주는 2024년 10월 31일부터 11월 18일까지 무려 400만 달러 이상을 투입해 지속적으로 주식을 매수했다. 주가가 13-14달러 수준일 때였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경영진들의 매수 타이밍이다. 린다 코즐로우스키 CEO는 2025년 5월 7-8일 주가가 7달러 초반대로 급락했을 때 총 75만 달러를 투입해 10만 4,520주를 매수했다. 프랜시스 리 전 CFO도 같은 시기 5만 달러를 매수했다. 가장 최근인 8월 1일에는 로버트 라이더 임시 CFO가 주가 6.83달러에 1만 5,000주를 매수했다. 이런 내부자 매수 패턴은 두 가지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경영진들이 회사의 펀더멘털을 잘 알고 있어 현재 주가가 과도하게 저평가됐다고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둘째,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상징적 제스처일 가능성도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슬립넘버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다. 소비자들의 가구 구매 패턴이 온라인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가운데, 슬립넘버의 오프라인 중심 비즈니스 모델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회사는 지난 1년간 16개 매장을 폐점했고, 이는 비용 절감 노력의 일환이지만 동시에 고객 접점 축소를 의미한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지표들이 있다. 먼저 현금 소진 속도다. 현재 135만 달러의 현금으로는 몇 개월밖에 버틸 수 없어, 추가 자금 조달이나 대규모 비용 절감이 시급하다. 둘째, 동일점포 매출 개선 여부다. 20% 감소세가 지속되면 회복 불가능한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셋째, 온라인 채널 성장률이다. 오프라인 매장 매출 감소를 온라인이 얼마나 보완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긍정적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내부자들의 매수가 옳다면 현재 주가는 과도한 공포로 인한 저평가 상태일 수 있다. 스마트 침대 시장은 여전히 성장 잠재력이 있고, 슬립넘버의 기술력과 브랜드 인지도는 회복의 발판이 될 수 있다. 또한 적극적인 구조조정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도 있다. 반면 부정적 시나리오에서는 현금 고갈로 인한 파산 위험이 현실화될 수 있다. 소비자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 고가 매트리스 수요는 더욱 위축될 것이고, 경쟁 심화로 시장 점유율 하락도 우려된다. 현재 분석가들의 목표주가는 6.50-8.00달러 수준으로, 대부분 '보유'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완전한 포기는 이르다는 신중한 관점을 반영한다. 슬립넘버에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은 극도로 높은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내부자 매수가 옳다면 상당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현금 고갈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투자원금 대부분을 잃을 수 있다. 투자 시 포트폴리오의 극소량만 배분하고, 현금흐름과 동일점포 매출 지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