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OLN

올린($OLN) 63% 폭락 속 내부자 연속 매수, 바닥 신호인가 함정인가?

2025.08.07 18:54

AI 점수

요약

  • 올린($OLN)이 1년간 63% 폭락한 가운데 내부자들의 연속 매수가 바닥 신호 가능성을 시사
  • 8월 임원의 2만주 매수는 현재 주가 수준에서 이뤄진 대규모 투자로 경영진 확신 표출
  • 높은 부채비율과 화학업계 전반 부진이라는 리스크 속에서도 배당수익률 4.35% 제공

긍정 요소

  • 내부자들의 연속적인 매수 행동, 특히 CEO와 임원의 현재 주가 수준에서의 대규모 투자
  • 주가매출액비율 0.32배로 매출 대비 상당한 저평가 상태
  • 연간 4억 5,790만 달러의 양호한 영업현금흐름과 66.6억 달러 매출 규모
  • 윈체스터 탄약 사업부의 10.1% 성장과 군수 부문 강세
  • 2028년까지 2억 5,000만 달러 구조적 비용 절감 목표로 수익성 개선 추진

부정 요소

  • 165%의 높은 부채비율로 재무 레버리지 위험 존재
  • 최근 분기 순손실 기록으로 수익성 악화
  • 화학업계 전반의 구조적 어려움과 2026년까지 성장 부진 전망
  • 150% 이상의 배당 지급률로 배당 지속가능성 우려
  • 허리케인 베릴 등 자연재해로 인한 생산 중단 리스크

전문가

화학업계 전문가 관점에서 올린의 내부자 매수는 의미있는 신호로 판단됩니다. 현재 화학업계가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올린의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와 필수 화학 소재 중심의 사업 모델은 상대적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특히 염소알칼리 제품의 경우 대체재가 제한적이어서 장기적 수요 기반이 견고하며, 최근 매수 시점이 밸류에이션 바닥권에 근접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일종가

$19.23

+0.82(4.45%)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21.18

매수 평단가

$43.75

매도 평단가

$577.4K

매수 대금

$459.41K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8/07/2025

08/07/2025

매도

$

올린 코퍼레이션($OLN)이 지난 1년간 63% 이상 폭락한 가운데, 내부자들의 연속적인 매수 행동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지난 8월 6일 마크 에어하르트 임원이 2만 주를 주당 18.70달러에 매수한 것은 현재 주가와 거의 동일한 수준에서 이뤄진 대규모 투자로 주목된다. 올린은 1892년 설립된 화학 전문 기업으로, 염소알칼리 제품과 비닐, 에폭시 수지, 그리고 윈체스터 탄약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제품인 염소, 가성소다, 염화비닐 모노머 등은 산업 전반에 걸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초 화학 소재다. 시가총액 25억 달러 규모의 중견기업으로 전 세계 7,676명의 직원을 고용하며,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아시아태평양, 라틴아메리카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내부자 거래 패턴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변화가 감지된다. 2024년 11월 니콜 서머 임원이 주당 43.75달러에 1만 500주를 매도한 후,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 2025년 2월 케네스 토드 레인 사장이 주당 28.06달러에 7,250주를 매수했고, 최근 8월에는 마크 에어하르트 임원이 더 낮은 가격에서 훨씬 큰 규모의 매수에 나섰다. 이는 단순한 기계적 매매가 아닌 경영진의 확신에 찬 투자 행동으로 해석된다. 현재 주가 18달러대는 회사의 장부가치인 17.07달러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주가매출액비율(PSR) 0.32배라는 수치는 매출 대비 주식이 상당히 저평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러한 저평가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부채비율이 165%에 달해 재무 레버리지가 높고, 최근 순손실을 기록하며 수익성에 문제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화학업계 전반의 어려움도 무시할 수 없다. 파이퍼 샌들러는 화학업계가 2026년까지 성장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발표했다. EU와 아시아의 구조적 문제, 중국의 화학 수요 성장 둔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런 상황에서 다우 케미칼과 라이온델바셀 같은 대형 업체들도 등급 하향 조정을 받았다. 올린의 경우 추가적인 악재도 있었다. 2024년 7월 허리케인 베릴로 인해 텍사스 프리포트 공장 운영이 중단되면서 포스 마주어(불가항력) 선언을 하기도 했다. 키뱅크는 이런 공급 중단이 가성소다, PVC, MDI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지만, 단기적으로는 매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린의 펀더멘털에는 긍정적 요소들이 남아있다. 연간 매출 66.6억 달러 규모에 영업현금흐름이 4억 5,790만 달러로 양호한 편이다. 특히 윈체스터 탄약 사업부는 10.1% 성장을 기록하며 군수 부문의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회사는 2028년까지 2억 5,000만 달러 이상의 구조적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효율화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배당 측면에서도 4.35%의 수익률을 제공하고 있어 수익형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일 수 있다. 다만 현재 배당 지급률이 150%를 넘어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있다. 내부자 매수의 시그널을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도 있다. CEO의 2월 매수 이후에도 주가는 28달러에서 18달러로 추가 하락했다. 이는 내부자들도 바닥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두 차례에 걸친 경영진의 매수, 특히 최근 현재 주가 수준에서의 대규모 매수는 적어도 더 이상의 극심한 하락 가능성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애널리스트들의 목표주가는 평균 24달러 수준으로 현재 주가 대비 약 30% 상승 여력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화학업계 전반의 회복과 올린의 수익성 개선이 전제되어야 한다. 향후 주목해야 할 요소들로는 분기별 실적 개선 여부, 부채 감축 진행 상황, 그리고 화학업계 전반의 수급 개선이 있다. 특히 중국 경기부양책의 효과와 미국 내 화학 제품 수요 회복 여부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올린의 현재 상황은 높은 위험과 잠재적 보상이 공존하는 전형적인 밸류 투자 기회로 판단된다. 내부자들의 연속 매수는 긍정적 신호이지만, 높은 부채비율과 업계 전반의 어려움이라는 리스크 요인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투자를 고려한다면 포트폴리오의 일부만을 할당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