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VNDA

반다 파마슈티컬스($VNDA), CEO 8개월간 12만주 매수 행진...2026년 FDA 승인 앞둔 저평가 기회?

2025.08.08 20:10

AI 점수

C 레벨

요약

  • 반다 파마슈티컬스($VNDA) CEO가 2025년 2-8월 12만주 이상(55만 달러) 지속 매수하며 경영진 확신 표명
  • 주가는 1년간 30% 하락했지만 조현병·조울증 치료제 바이산티의 2026년 2월 FDA 승인 대기 중
  • 현금 3억2,550만 달러 보유로 재무 건전성 양호하며 애널리스트 목표가 13달러(200% 상승 여력)

긍정 요소

  • CEO가 2025년 2월부터 8월까지 12만주 이상 지속 매수하며 강한 경영진 확신 표명
  • 파이프라인 치료제 바이산티(조현병·조울증)와 트래디피탄트(멀미) FDA 승인 대기 중으로 상당한 매출 기여 기대
  • 현금 보유액 3억2,550만 달러로 충분한 운영 자금 확보 및 부채비율 2.39%로 재무 건전성 양호
  • 주력 제품 파나프트 매출이 2025년 상반기 21% 증가하며 성장 모멘텀 유지
  • 애널리스트 평균 목표가 13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200% 이상 상승 여력 제시

부정 요소

  • 2025년 상반기 적자가 5,67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 폭 확대
  • 주가가 1년간 30% 하락하며 6달러에서 4달러 초반까지 지속적 약세
  • 주력 제품 헤틀리오즈의 제네릭 경쟁 심화로 매출 감소 압력 지속
  • 최근 분기 실적이 매출·EPS 모두 시장 예상치 하회하며 투자자 우려 증대
  • 바이오테크 특성상 FDA 승인 실패 리스크와 높은 주가 변동성 상존

전문가

바이오테크 섹터 관점에서 반다 파마슈티컬스의 CEO 지속 매수는 매우 의미 있는 신호입니다. 특히 파이프라인 승인 대기 상황에서 경영진의 이런 행동은 내부 정보에 기반한 확신을 보여주며, 2026년 2월 바이산티 승인 시 상당한 주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전일종가

$4.2

-0.00(0.00%)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4.58

매수 평단가

$4.83

매도 평단가

$513.59K

매수 대금

$57.99K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8/08/2025

08/08/2025

매도

$

반다 파마슈티컬스($VNDA)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주가가 1년간 20% 넘게 하락한 상황에서도 CEO가 지속적으로 자사주를 매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경영진이 현재 주가를 저평가로 판단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로 해석된다. 반다 파마슈티컬스는 중추신경계 질환과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바이오제약회사다. 주력 제품으로는 수면장애 치료제 헤틀리오즈(HETLIOZ), 조현병·조울증 치료제 파나프트(Fanapt),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폰보리(PONVORY) 등을 보유하고 있다. 시가총액 약 2억4천만 달러의 소형주로, 혁신적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통해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미하엘 폴리메로풀로스 CEO의 내부자 매수 패턴이다. 2025년 2월부터 8월까지 총 12만주 이상을 약 55만 달러에 매수했다. 특히 2월 25일부터 3월 6일까지는 7거래일 연속으로 매일 1만주씩 매수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가장 최근에는 8월 7일 주당 4.15달러에 1만주를 추가 매수했다. 이는 단순한 루틴 매수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CEO가 회사의 미래 가치에 대해 강한 확신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같은 CEO의 매수 행보는 현재 주가 상황과 대조적이다. $VNDA 주가는 2024년 6월 6달러 수준에서 현재 4달러 초반까지 약 30% 하락했다. 2024년 6월 인수 제안들이 잇따랐을 때도 현재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당시 버틀러 홀 캐피털은 주당 13-22달러의 가치를 제시했고, 퓨처 팩과 사이클 파마도 각각 8.5-9달러, 8달러의 인수 제안을 했지만 모두 거절당했다.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지속되는 적자다. 2024년 1,890만 달러 적자에 이어 2025년 상반기에는 적자 폭이 5,670만 달러로 확대됐다. 주력 제품인 헤틀리오즈의 제네릭 경쟁과 시장 점유율 하락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분기 실적도 예상치를 하회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다. 하지만 회사의 재무 건전성은 양호하다. 현금 보유액이 3억2,550만 달러에 달해 향후 몇 년간 연구개발과 운영 자금을 충분히 확보했다. 부채비율도 2.39%에 불과해 재무 리스크가 낮다. 특히 파나프트 매출은 2025년 상반기 21% 증가하며 성장 모멘텀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이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파이프라인 진전이다. 조현병과 조울증 치료제 바이산티(Bysanti)의 FDA 승인 결정일이 2026년 2월 21일로 예정되어 있다. 이 약물이 승인되면 회사 매출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멀미 치료제 트래디피탄트(Tradipitant)도 2025년 12월 30일 FDA 승인 결정을 앞두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의 평가도 긍정적이다. 평균 목표주가가 13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200% 이상의 상승 여력을 제시하고 있다. 'Buy' 등급이 우세한 가운데, 파이프라인 성공 시 주가 재평가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향후 주목할 포인트는 명확하다. 먼저 2026년 2월 바이산티 FDA 승인 여부가 가장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다. 승인 시 주가는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승인이 거절되면 추가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다. CEO의 지속적인 매수 패턴도 계속 관찰해야 한다. 매수가 중단되거나 매도로 전환된다면 경영진의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파이프라인 승인과 함께 주가가 목표가 수준인 13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기본 시나리오로는 현재 수준에서 점진적 회복을 통해 6-8달러 수준 도달이 가능하다. 리스크 시나리오에서는 FDA 승인 실패 시 3달러 이하까지 하락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VNDA는 CEO의 지속적 매수와 파이프라인 진전을 고려할 때 장기 투자 관점에서 고려해볼 만한 종목이다. 다만 바이오테크 특성상 높은 변동성과 승인 리스크를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