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KRNY

Kearny Financial($KRNY) 이사, 8월 연속 매수로 1년간 1만5천주 취득... PBR 0.51 저평가에 배당수익률 7.4% 주목

2025.08.12 06:00

AI 점수

연속 매수

요약

  • Wong-Zaza 이사가 8월 들어 연속으로 주식 매수하며 1년간 총 15,475주 취득
  • PBR 0.51로 장부가 대비 절반 수준에서 거래되는 저평가 상황
  • 연 배당수익률 7.4%로 매력적이나 배당성향 100% 초과로 지속가능성 우려

긍정 요소

  • 내부자의 지속적이고 최근 집중적인 매수로 경영진 신뢰도 확인
  • PBR 0.51, Forward P/E 11.49배로 상당한 저평가 상황
  • 연 배당수익률 7.4%로 높은 현금흐름 제공
  • 2025년 순이익 2,610만 달러로 손실에서 흑자 전환
  • 기관투자자 지분율 65%로 안정적 주주 구조

부정 요소

  • 총 부채 12.6억 달러 대비 현금 1.67억 달러로 높은 레버리지 리스크
  • ROE 3.48%, ROA 0.34%로 낮은 자본 효율성
  • 최근 분기 실적이 지속적으로 애널리스트 기대치 하회
  • 배당성향 100% 초과로 배당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
  • 지역은행 섹터의 구조적 어려움과 금리 불확실성

전문가

지역은행 섹터 관점에서 내부자의 지속적 매수는 긍정적 신호이나, 높은 레버리지와 낮은 자본수익률은 업계 평균 대비 경쟁력 약화를 시사한다. 현재 밸류에이션은 매력적이지만 배당 지속가능성과 자산 질 개선이 핵심 과제다.

전일종가

$6.04

-0.00(0.00%)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6.67

매수 평단가

$6.13

매도 평단가

$63.25K

매수 대금

$24.52K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8/13/2025

08/13/2025

매도

$

Kearny Financial($KRNY)의 Melvina Wong-Zaza 이사가 8월 들어 연속으로 주식을 매수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8월 1일 1,500주를 주당 5.99달러에, 일주일 후인 8월 8일에는 1,375주를 5.93달러에 추가 매수했다. 이는 단순한 일회성 거래가 아닌 확신에 찬 연속 투자로 해석된다. Kearny Financial은 1884년 설립된 뉴저지 소재 지역은행지주회사로, Kearny Bank를 통해 예금 수집과 대출 업무를 주력으로 한다. 다가족 주택 및 상업용 부동산 대출, 주거용 모기지 대출 등이 핵심 사업 영역이다. 시가총액 약 3.89억 달러의 소형주로, 지역경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Wong-Zaza 이사의 이번 매수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그는 지난 1년간 지속적으로 주식을 매수해왔다. 2024년 7월 31일 6,000주(7.13달러), 8월 15일 1,600주(6.21달러), 2025년 2월 7일 5,000주(7.23달러)에 이어, 최근 두 차례 연속 매수까지 단행했다. 총 매수 규모는 15,475주에 약 10만 4천 달러에 달한다.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매수 기회를 포착해온 것이다. 반면 경영진의 매도 거래도 있었다. Thomas DeMedici EVP는 2024년 8월 6,304주를 6.01달러에 매도했고, Patrick Joyce EVP는 2025년 6월 4,000주를 6.13달러에 매도했다. 다만 Joyce의 경우 제한주식(RSU) 일부로, 2023년부터 연 33%씩 3년간 가득되는 보상의 일환이었다. 현재 $KRNY 주가는 5.86달러로, 연초 대비 약 13% 하락한 상태다. 2024년 11월 8.21달러를 고점으로 지속적인 조정을 겪고 있다. 지역은행 섹터 전반의 어려움과 금리 불확실성이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무적으로는 긍정적인 변화가 감지된다. 2025 회계연도 순이익이 2,61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손실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TTM 기준 매출은 1.52억 달러로 분기별 YoY 8.1% 성장을 보이고 있다. 영업마진도 24.46%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현재 밸류에이션이다. PBR이 0.51로 장부가 대비 절반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어 상당한 저평가 상황으로 판단된다. Forward P/E도 11.49배로 과거 22-24배 대비 크게 낮아진 상태다. 1년 목표주가는 7.25달러로 현재가 대비 약 24%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배당 측면에서도 매력적이다. 분기 배당 0.11달러를 지속 지급하고 있어 연간 배당수익률이 7.4%에 달한다. 다음 배당 기준일은 8월 12일이며, 8월 26일 지급 예정이다. 다만 배당성향이 100%를 넘어서고 있어 지속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리스크 요인도 존재한다. 총 부채 12.6억 달러 대비 현금 1.67억 달러로 레버리지가 높은 편이다. ROE 3.48%, ROA 0.34%로 자본 효율성도 업계 평균에 비해 아쉬운 수준이다. 최근 분기 실적들이 지속적으로 애널리스트 기대치를 하회하고 있는 점도 우려 요소다. 하지만 기관투자자 지분율이 65%로 높고, 2025년 1월 Piper Sandler가 'overweight'로 업그레이드하며 목표가를 9달러로 설정한 점은 긍정적이다. 보수적인 대차대조표와 지속가능한 배당을 바탕으로 인수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 향후 주목할 촉매로는 다음 분기 실적 발표와 배당 정책, 그리고 부채 관리 전략이 있다. 지역은행 섹터의 전반적인 회복과 금리 안정화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KRNY는 현재 저평가 상태에서 내부자의 지속적인 매수가 이어지고 있어 관심을 가져볼 만한 상황이다. 높은 배당수익률과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지만, 배당 지속가능성과 레버리지 리스크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