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BCDA

바이오카디아($BCDA), 신저점 속 경영진 공격적 매수...FDA 승인 앞둔 기로

2025.08.12 06:54

AI 점수

C 레벨

요약

  • 바이오카디아 주가가 52주 최저점 근처에서 거래되는 가운데 CEO와 이사진의 지속적인 대량 매수가 주목받고 있다
  • 3분기 Helix 시스템 FDA 승인 신청과 4분기 CardiAMP 치료제 승인 가능성 미팅 등 단기 촉매 요인들이 예정되어 있다
  • 현금 보유액 약 95만달러로 10월까지만 운영 가능해 추가 자금 조달이 시급한 상황이다

긍정 요소

  • CEO와 이사진의 지속적인 대량 매수로 경영진의 강한 신뢰 확인
  • 2분기 실적에서 애널리스트 예상보다 양호한 주당 손실 기록 (-40센트 vs -50센트 예상)
  • 3상 임상시험 진행 중인 CardiAMP 치료제의 이전 임상에서 유의한 사망률 감소 입증
  • 3분기 Helix 시스템 FDA 승인 신청과 4분기 CardiAMP 승인 가능성 미팅 등 단기 촉매 보유
  •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15.50달러로 현재 대비 825% 상승 여력

부정 요소

  • 현금 보유액 95만달러로 분기 소모액 160만달러 대비 10월까지만 운영 가능
  • 주가가 지난 1년간 37% 하락, 5년간 95% 하락으로 극심한 변동성
  • 매출은 거의 전무한 상태로 임상시험 성공에 전적으로 의존
  • 추가 자금 조달 시 상당한 지분 희석 불가피
  • 임상시험 실패나 FDA 승인 지연 시 주가 추가 하락 위험 높음

전문가

바이오카디아는 심혈관 질환 세포치료 분야의 임상단계 기업으로, 현재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임박한 현금 고갈과 규제 승인 일정이다. 내부자들의 대량 매수는 긍정적이지만, 10월까지의 운영 자금과 향후 몇 개월간의 FDA 관련 결과가 회사의 운명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전일종가

$1.74

-0.00(0.00%)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1.98

매수 평단가

$2

매도 평단가

$1.01M

매수 대금

$6.51K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8/13/2025

08/13/2025

매도

$

바이오카디아($BCDA)의 주가가 연일 신저점을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경영진과 이사진의 공격적인 매수 행보가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8월 11일 피터 알트만 CEO가 주당 1.76달러에 1,700주를 추가 매수한 것은 올해 들어 그가 보여온 일관된 신뢰 표현의 연장선이다. 바이오카디아는 심혈관 질환을 위한 세포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임상단계 바이오텍 기업이다. 주력 제품인 CardiAMP 자가세포치료 시스템은 현재 허혈성 심부전을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시험(CardiAMP HF II)을 진행 중이며, 이전 임상에서 특정 바이오마커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망률 감소를 보인 바 있다. 또한 Helix 전달 시스템은 3분기 중 FDA 승인 신청을 앞두고 있어 단기 촉매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주목할 만한 것은 경영진의 매수 패턴이다. 올해 4월 23일 Andrew Blank 이사가 24만9천998달러 상당의 주식을 매수했고, Simon Stertzer 이사도 같은 날 19만9천998달러어치를 매수했다. 6월 30일에도 두 이사가 각각 15만달러씩 추가 매수에 나섰다. 이는 단순한 의무 매수를 넘어선 수준으로, 특히 주가가 지속 하락하는 상황에서 나온 행동이어서 더욱 의미가 크다. CEO 알트만의 경우 더욱 적극적이다. 작년 6월부터 올해 8월까지 거의 매달 꾸준히 매수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주가가 2달러 아래로 떨어질 때마다 매수 물량을 늘리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8월 11일 1.76달러 매수는 올해 최저 수준의 가격에서 이뤄진 것으로, 그의 확신이 얼마나 강한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간과해서는 안 될 위험 요소들도 존재한다. 회사의 현금 보유액은 6월 말 기준 약 95만달러에 불과하며, 분기별 현금 소모액이 160만달러에 달해 10월까지만 운영이 가능한 상황이다. 최근 ATM 프로그램을 통해 일부 자금을 조달했지만, 곧 추가적인 자금 조달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재무적으로는 2분기 실적에서 주당 손실 40센트를 기록해 애널리스트 예상치 50센트보다는 양호했지만, 여전히 매출은 거의 전무한 상태다. R&D 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80만달러에서 140만달러로 증가했는데, 이는 임상시험 활동 증가와 새로운 환자 등록 노력의 결과다. 현재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지표는 다음과 같다. 3분기 중 예정된 Helix 시스템 FDA 승인 신청 결과, 4분기 CardiAMP 치료제 FDA 승인 가능성 미팅 결과, 그리고 일본 PMDA와의 상담 진행상황이다. 이 중 하나라도 긍정적 결과가 나올 경우 현재 주가에서는 상당한 상승 여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애널리스트들은 여전히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으며, 12개월 목표주가를 15.50달러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 주가 대비 약 825% 상승 여력이 있다는 계산이다. 물론 이는 임상시험 성공과 규제 승인을 전제로 한 것이지만, 내부자들의 지속적인 매수는 이러한 시나리오에 대한 그들의 확신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반면 주의해야 할 시나리오도 명확하다. 임상시험에서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거나 FDA 승인이 지연될 경우, 현금 고갈과 함께 주가는 더욱 큰 폭의 하락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추가 자금 조달 과정에서 상당한 지분 희석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바이오카디아는 임상단계 바이오텍의 전형적인 고위험-고수익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내부자들의 지속적인 매수는 분명 긍정적 신호이지만, 이것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기에는 변수가 너무 많다. 향후 몇 개월간 예정된 규제 관련 이벤트들이 회사의 운명을 가를 것으로 보이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바이너리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