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O
크로노스 월드와이드($KRO), CEO 포함 임원진 15만달러 '바닥매수' vs 64% 폭락 현실
2025.08.12 20:33
AI 점수
집단 매수
C 레벨
요약
- 크로노스 월드와이드 내부자들이 64% 주가 급락 와중에 8월 11일 하루에만 15만 달러 규모의 집중 매수를 단행
- 2025년 2분기 주당 8센트 손실로 애널리스트 예상치(14센트 흑자)를 크게 하회하며 실적 부진 지속
- EU의 중국산 이산화티타늄 반덤핑 관세 부과로 가격 경쟁력 개선 기대감 존재
긍정 요소
- CEO를 포함한 고위 임원들의 지속적이고 대규모 내부자 매수로 경영진의 강한 신뢰 표출
- EU 중국산 이산화티타늄 반덤핑 관세(킬로그램당 0.25-0.74유로) 5년간 적용으로 가격 경쟁력 개선 전망
- P/E 9.39배, P/S 0.31배, P/B 0.69배 등 모든 밸류에이션 지표가 동종업계 대비 극도로 할인된 상태
- 애널리스트들이 향후 3년간 연평균 8.4% 매출 성장 전망으로 업계 평균(4.5%) 크게 상회
- TiO2 안료의 필수재 성격으로 경기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방어적 특성 보유
부정 요소
- 2025년 2분기 주당 8센트 손실로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며 지속적인 실적 악화
- 지난 12개월간 레버리지드 자유현금흐름 -$130.76백만 달러로 심각한 현금 유출 문제
- 현금 보유액 $18.9백만 달러에 불과해 부채비율 72.11%와 맞물려 유동성 압박 우려
- 화학 섹터 전반의 수요 둔화와 관세 우려로 업계 전반적인 역풍 지속
- 배당수익률 3.96%이지만 현금흐름 문제로 배당 지속가능성에 의문
전문가
화학 업계 관점에서 크로노스의 현 상황은 전형적인 '바닥' 신호들과 구조적 우려가 혼재된 복잡한 양상이다. 내부자 매수 집중과 EU 반덤핑 관세는 긍정적이나, 지속적인 현금흐름 악화는 단기적으로 심각한 리스크 요인이다. TiO2 시장의 구조적 개선 여부가 향후 투자 논리의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전일종가
$5.54
-0.00(0.00%)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5.88
매수 평단가
$0
매도 평단가
$273.47K
매수 대금
$0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 공시일 | 내부자명 | 직책 | 거래유형 | 평단가 | 거래대금 |
---|---|---|---|---|---|---|
08/13/2025 | 08/13/2025 | 매도 | $ |
크로노스 월드와이드($KRO)의 내부자들이 주가 급락 와중에 대규모 매수에 나서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산화티타늄(TiO2) 안료를 주력 제품으로 하는 이 텍사스 소재 화학회사는 페인트, 코팅, 플라스틱, 제지 등 다양한 산업의 핵심 소재를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1916년 설립 이후 1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2025년 8월 11일 하루에만 총 15만 달러가 넘는 규모의 집중적인 내부자 매수가 이뤄졌다는 점이다. EVP 에이미 샘포드가 3,000주($14,475), 임원 마이클 시몬스가 5,000주($24,350), 임원 바르트 라이허트가 2만주($99,200), 자금담당자 브라이언 핸리가 2,500주($12,250)를 각각 매수했다. 특히 바르트 라이허트의 2만주 매수는 단일 거래로는 상당한 규모다. 이는 2024년 8월 CEO 앤드루 네이스의 연속 매수와 2025년 3월 이사 케빈 크레이머의 1만 4,000주 매수($104,424)에 이은 세 번째 내부자 매수 집중 시점이다. CEO를 포함한 고위 임원들이 이처럼 지속적으로 자사주를 매수한다는 것은 경영진이 현재 주가를 저평가 상태로 판단하고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하지만 주가 추이는 내부자들의 낙관론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KRO는 2024년 6월 $13.43에서 2025년 8월 현재 $5 수준까지 64% 급락했다. 특히 2025년 7월 말부터 8월 초 사이 $6.02에서 $4.86으로 추가 하락세가 가속화됐다. 실적 부진이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이다. 2025년 2분기 $KRO는 주당 8센트 손실을 기록해 애널리스트 예상치(14센트 흑자)를 크게 하회했다. 매출액도 $494.4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하며 예상치($504.7백만)를 밑돌았다. 더 심각한 것은 지난 12개월간 레버리지드 자유현금흐름이 -$130.76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현금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구조적 변화가 $KRO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2024년 11월 EU가 중국산 이산화티타늄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승인한 것이 대표적이다. 안후이 골드 스타 그룹 제품에는 킬로그램당 0.25유로, LB 그룹 제품에는 0.74유로의 관세가 2025년 1월부터 5년간 적용된다. 이는 중국 업체들과의 가격 경쟁에서 상당한 완충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애널리스트들은 향후 3년간 연평균 8.4%의 매출 성장을 전망하고 있어 미국 화학산업 평균(4.5%)을 크게 상회한다. 현재 주가수익비율(P/E) 9.39배, 주가매출비율(P/S) 0.31배, 주가순자산비율(P/B) 0.69배 등 모든 밸류에이션 지표가 동종업계 대비 크게 할인된 상태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변수는 현금흐름 개선 여부다. 현재 현금 보유액이 $18.9백만 달러에 불과해 부채비율 72.11%와 맞물려 유동성 압박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배당수익률이 3.96%로 업계 평균을 상회하지만, 현금흐름 문제로 배당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화학 섹터 전반의 수요 둔화도 변수다. 2025년 8월 초 미국 제조업 서비스업 지표 부진과 관세 우려 확산으로 화학주들이 동반 하락했다. 하지만 $KRO가 주력으로 하는 TiO2 안료는 페인트, 화장품, 식품 등 필수재 성격이 강해 경기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향후 주목할 시점은 3분기 실적 발표다. 내부자 매수가 집중된 8월 이후 실제 사업 개선 신호가 나타날지가 관건이다. 또한 EU 반덤핑 관세 효과가 본격화되는 2025년 하반기 실적에서 가격 경쟁력 회복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현재 애널리스트들의 12개월 목표주가는 $8.00로 현재 주가 대비 32% 상승 여력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실적 회복 없이는 내부자 매수만으로 주가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저평가와 구조적 개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장기 관점의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