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TPVG

트리플포인트 벤처 그로스($TPVG) CEO, 66만 달러 연속 매수로 저평가 신호… 27% 할인된 주가에 14.65% 배당수익률

2025.08.13 23:25

AI 점수

연속 매수

C 레벨

요약

  • 트리플포인트 벤처 그로스($TPVG) CEO가 8월 중 총 66만 달러 규모 자사주를 연속 매수하며 저평가 상태에 대한 강력한 신뢰 표시
  • 주가순자산비율 0.73배로 27% 할인된 상태에서 14.65% 배당수익률 제공하나 배당성향 116%로 지속가능성 우려
  • BDC 업계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영업이익률 77%, 순이익률 42% 유지하며 기본 수익성은 견고

긍정 요소

  • CEO의 연속 대량 매수로 경영진의 강력한 신뢰 표시
  • 주가순자산비율 0.73배로 상당한 저평가 상태
  • 14.65% 고배당수익률과 보수적인 순차입비율 1.04배
  • 2분기 신규 채무투자 약정 109% 증가로 사업 모멘텀 회복
  • BBB 투자등급 유지와 3억 달러 이상의 충분한 유동성

부정 요소

  • 매출 전년 대비 14.3% 감소와 2분기 애널리스트 예상 하회
  • 배당성향 116%로 순이익 초과하는 배당 지급으로 지속가능성 우려
  • 벤처 투자 시장 위축과 금리 상승으로 신규 딜 발굴 어려움
  • 주가 년초 대비 15% 하락으로 시장 신뢰도 약화
  • 일부 포트폴리오 신용등급 하향으로 자산 건전성에 부분적 우려

전문가

BDC 업계 전문가 관점에서 TPVG의 CEO 매수는 현재 밸류에이션 매력도를 반영한 의미있는 신호로 평가됩니다. 고금리 환경에서 BDC들이 겪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TPVG의 벤처 성장기업 특화 포지셔닝과 견고한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차별화 요소입니다. 다만 배당 지속가능성 문제는 업계 공통 과제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전일종가

$6.32

-0.01(0.16%)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6.29

매수 평단가

$0

매도 평단가

$661.7K

매수 대금

$0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8/14/2025

08/14/2025

매도

$

벤처 성장기업 전문 투자회사 트리플포인트 벤처 그로스($TPVG)의 사잘 스리바스타바(Sajal Srivastava) CEO가 8월 중 두 차례에 걸쳐 총 66만 달러(약 9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수했다고 공시됐다. 이는 주가가 6달러대 초반으로 하락한 시점에서 나온 강력한 내부자 신뢰 표시로 해석된다. 트리플포인트 벤처 그로스는 벤처캐피털이 투자한 성장단계 기업들에게 맞춤형 채무 융자와 지분 투자를 제공하는 BDC(Business Development Company)다. 기술, 생명과학, 이커머스,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고성장 기업들에게 100만~5000만 달러 규모의 성장자본을 공급하며, 연 10~18%의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 현재 6억6380만 달러 규모의 채무투자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150개 이상 기업에 지분투자도 병행하고 있다. CEO의 이번 매수는 단순한 개인 투자가 아니라 배당 재투자 계획을 통한 것으로, 현금 배당 대신 주식으로 받아 지분을 늘리는 전략이다. 8월 11일 76,700주(주당 6.30달러), 12일 28,387주(주당 6.28달러)를 매수해 총 105,087주를 취득했다. 이는 주가가 년초 7.4달러 대비 15% 이상 하락한 저점에서 이뤄진 매수로, 경영진이 현재 주가를 저평가로 판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TPVG는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 0.73배로 장부가치 대비 27% 할인된 상태다. 주당 순자산가치(NAV)가 8.65달러인 상황에서 주가는 6달러대에 머물고 있어 상당한 밸류에이션 갭이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스폰서인 트리플포인트 캐피탈도 향후 1년간 최대 1400만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해 주가 지지 의지를 보였다. BDC 업계 전반의 어려운 환경도 고려해야 할 요소다. 금리 상승과 벤처 투자 시장 위축으로 신규 딜 발굴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TPVG 역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3% 감소한 상황이다. 2분기 매출은 2300만~2500만 달러로 애널리스트 예상을 소폭 하회했으며, 올해 전체 매출도 전년 대비 13.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회사의 기본적인 수익 창출 능력은 여전히 견고하다. 영업이익률이 77%에 달하고, 순이익률도 42%를 유지하고 있다. 채무투자 포트폴리오의 가중평균 수익률은 14.5%로 높은 수준이며, 신규 투자 시 평균 수익률은 12.3%다. 총 유동성도 3억1250만 달러로 충분한 편이고, 순차입비율 1.04배는 업계 대비 보수적인 수준이다. 투자자들이 가장 주의깊게 봐야 할 부분은 배당 지속가능성이다. 현재 배당수익률이 14.65%에 달하지만, 배당성향이 116%로 순이익을 초과하고 있다. 다행히 운용사가 2025년 말까지 성과보수를 면제하기로 해 배당 부담을 줄이고 있으며, 3분기에도 주당 0.23달러 배당을 선언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매출 회복이나 비용 효율화 없이는 현재 수준의 배당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신용등급 기관 DBRS는 TPVG에 BBB(낮음) 투자등급을 부여하며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신용등급도 평균 2.17점(1점이 최고)으로 양호한 편이다. 최근 몇 개 포트폴리오에서 소폭 등급 하향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건전성은 유지되고 있다는 평가다. 향후 6개월간은 연준의 금리 정책과 벤처 투자 시장 회복 여부가 핵심 변수가 될 것이다. 금리 하락이 시작되면 BDC들의 자금조달 비용 부담이 줄어들고 신규 딜 기회도 늘어날 수 있다. TPVG의 경우 2분기에 신규 채무투자 약정이 1억601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109% 증가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장기적으로는 기술과 생명과학 분야의 구조적 성장 추세가 TPVG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AI, 클라우드, 바이오테크 등 고성장 섹터에 특화된 포트폴리오는 경기 회복기에 상당한 상승 잠재력을 제공할 수 있다. CEO의 연속 매수는 현재 주가가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됐다는 강력한 신호다. 높은 배당수익률과 보수적인 레버리지, 그리고 전문화된 투자 영역은 분명한 매력 포인트다. 다만 매출 감소 추세와 배당 지속가능성 우려는 단기적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