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TK
섀턱 랩스($STTK) 이사, 547만달러 거대 매수로 강한 확신 시그널... 바닥권에서 143% 상승 잠재력
2025.09.03 01:55
AI 점수
요약
- 섀턱 랩스 이사 모나 아시야가 8월 25일 630만 주, 547만 달러 규모의 거대 매수를 단행했으며, 이는 현재 시가총액의 11%에 해당하는 규모
- 주가는 2024년 6월 7.33달러에서 현재 1.01달러로 85% 폭락했으나, 내부자 매수가(0.87달러) 대비 16% 상승
- 강한 현금 포지션(5,047만 달러)과 낮은 부채(297만 달러)로 단기 운영 안정성 확보, DR3 표적 치료제 개발로 IBD와 종양학 분야 진출
긍정 요소
- 이사 모나 아시야의 547만 달러 규모 거대 매수는 내부자의 강한 확신을 보여주는 신호
- 8월 1억 300만 달러 자금조달 성공으로 충분한 운영자금 확보
- 강한 현금 포지션(5,047만 달러)과 낮은 부채(297만 달러)로 재무 안정성 확보
- DR3 표적 기술 플랫폼으로 IBD와 종양학 분야 차별화된 치료제 개발
-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2.46달러로 현재 가격 대비 143% 상승 여력
부정 요소
- 연간 순손실 6,150만 달러로 지속적인 현금 소모 불가피
- 주가가 2024년 6월 대비 85% 폭락하며 심각한 가치 훼손
- 임상단계 바이오테크 특성상 임상시험 실패 위험 존재
- 베타 1.64로 시장 대비 높은 변동성
- 추가 자금조달 필요시 기존 주주 지분 희석 가능성
전문가
바이오테크 섹터 관점에서 섀턱 랩스의 내부자 거래는 매우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특히 이사의 547만 달러 규모 매수는 임상단계 바이오테크에서 보기 드문 규모로, 내부자의 강한 확신을 보여줍니다. DR3 표적 플랫폼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제공하며, 최근 자금조달 성공과 함께 임상 진행에 필요한 재무적 기반을 확보했습니다.
전일종가
$1.51
+0.00(0.33%)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1.24
매수 평단가
$1.25
매도 평단가
$210.93K
매수 대금
$166.71K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 공시일 | 내부자명 | 직책 | 거래유형 | 평단가 | 거래대금 |
---|---|---|---|---|---|---|
09/05/2025 | 09/05/2025 | 매도 | $ |
섀턱 랩스($STTK)는 텍사스 오스틴에 본사를 둔 임상단계 바이오테크 기업으로, DR3 표적 단일클론항체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회사다. 회사의 주력 후보물질인 SL-325는 DR3 수용체에 결합해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염증성 장질환(IBD) 치료제로, 최근 IND(임상시험계획서) 승인을 받아 임상시험 진행이 가능해졌다. 가장 주목할 만한 움직임은 이사 모나 아시야(Mona Ashiya)가 8월 25일 단행한 630만 주, 총 547만 달러 규모의 거대 매수 거래다. 주당 0.87달러에 체결된 이 거래는 현재 시가총액 4,838만 달러의 약 11%에 해당하는 규모로, 바이오테크 업계에서도 보기 드문 대규모 내부자 매수로 평가된다. 특히 이 매수는 회사가 8월 5일 발표한 1억 300만 달러 자금조달 직후 이뤄져, 내부자의 회사 전망에 대한 강한 확신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섀턱 랩스 주가는 2024년 6월 7.33달러에서 시작해 현재 1.01달러까지 85% 이상 폭락했다. 특히 2024년 10월 초 3.49달러에서 1.92달러로 급락한 이후 지속적으로 1달러 내외에서 거래되고 있어 바닥 형성 국면으로 보인다. 아시야의 매수가인 0.87달러 대비 현재 가격은 이미 16% 상승한 상태다. 회사의 재무 상태는 임상단계 바이오테크 치고는 양호한 편이다. 현금 보유액은 약 5,047만 달러로 충분한 운영자금을 확보하고 있으며, 총 부채는 297만 달러에 불과해 순현금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 유동비율이 10.25배에 달해 단기 유동성 위험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다만 연간 순손실이 6,150만 달러에 달하고 있어 지속적인 현금 소모는 불가피하다. 내부자 거래 패턴을 보면 아시야의 거대 매수 외에도 CEO 테일러 슈라이버가 2024년 6월과 10월 두 차례 매수에 나섰고, 이사 타일러 브라우스도 6월 연속 매수를 단행했다. 이는 경영진과 이사진이 현재 주가 수준을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점은 섀턱 랩스가 DR3 표적 치료제라는 차별화된 기술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DR3는 면역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수용체로, 염증성 장질환뿐만 아니라 종양학 분야에서도 응용 가능성이 크다. 회사는 SL-325 외에도 여러 이중특이성 항체와 TRIM7 억제제 등을 전임상 단계에서 개발 중이다. 애널리스트들은 현재 '매수' 등급을 유지하고 있으며, 12개월 목표주가를 2.46달러로 제시해 현재 가격 대비 143% 상승 여력을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임상시험 결과에 따른 높은 변동성과 추가 자금조달 필요성 등의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한다. 섀턱 랩스는 11월 13일 실적 발표를 예정하고 있어, 최근 자금조달과 임상 진행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업데이트가 기대된다. 아시야의 거대 매수와 연이은 내부자 매수 행렬은 현재 주가 수준이 바닥권이라는 내부자들의 판단을 반영하는 것으로, 위험 감수 성향이 높은 투자자들에게는 관심을 가져볼 만한 시점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