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SMG

스캓츠 미라클-그로($SMG), 창업가 일가 1년간 대규모 매도 vs 경영진 매수... 갈린 내부 신호

2025.09.04 15:26

AI 점수

C 레벨

요약

  • 스캓츠 미라클-그로($SMG) 창업가 일가의 대규모 지속 매도와 일반 경영진의 대조적 매수로 내부자 거래에서 상반된 신호 발생
  • 호손 사업부 매출 53.9% 급감으로 성장 동력 상실, 전통 사업부는 1.3% 성장으로 안정성 유지
  • 높은 레버리지(부채 24.7억 vs 현금 0.52억 달러)와 지속가능성 의문스러운 배당(지급비율 320% 초과)이 주요 리스크 요인

긍정 요소

  • 3분기 EPS $2.59로 애널리스트 예상치 $2.19를 18% 상회하는 실적 서프라이즈 달성
  • 전통적인 미국 소비자 사업부 매출 1.3% 성장으로 안정적 기반 사업 유지
  • 선행 PEG 비율 0.23으로 성장성 대비 저평가 상태, 선행 P/E 13.72배로 밸류에이션 매력 존재
  • 경영진 마크 쉐이워의 9월 매수로 내부 관점에서 현재 주가 수준의 투자 가치 인정

부정 요소

  • 창업가 일가 헤이거던 패밀리의 1년간 지속적 대규모 지분 매도로 경영진 신뢰도에 의문 제기
  • 호손 사업부 매출 53.9% 급감으로 주요 성장 동력 상실, 전체 실적 발목잡이 역할
  • 총 부채 24.7억 달러 대비 현금 5,200만 달러로 과도한 레버리지 구조의 재무 리스크
  • 배당 지급비율 320% 초과로 지속가능성 의문, 향후 배당 삭감 가능성 존재

전문가

농업투입재 업계 관점에서 스캓츠 미라클-그로는 전통적 강자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신사업 전환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수경재배 시장의 급속한 성숙과 대마초 관련 규제 불확실성이 호손 사업부 실적에 직격탄을 가했으며, 이는 업계 전반의 신사업 다각화 리스크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다만 전통적 잔디관리 시장에서의 브랜드 파워와 유통망 장악력은 여전히 견고한 경쟁우위를 제공하고 있어, 구조조정 완료 시 안정적 수익성 회복이 기대됩니다.

전일종가

$62.69

+0.03(0.04%)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61.32

매수 평단가

$70.69

매도 평단가

$109.76K

매수 대금

$42.03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9/05/2025

09/05/2025

매도

$

스캇츠 미라클-그로($SMG)가 투자자들에게 복합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창업가 일가의 지속적인 대규모 지분 매도와 일반 경영진의 최근 매수가 극명하게 대비되면서, 이 미드캡 농업투입재 기업에 대한 시장의 시각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스캓츠 미라클-그로는 1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미국의 대표적 잔디 및 정원관리 제품 회사로, 스캇츠, 미라클-그로, 오르토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전통적인 소비자 사업부 외에도 실내원예와 수경재배 시장을 겨냥한 호손(Hawthorne) 사업부를 운영하며, 특히 대마초 재배 관련 시장에서의 성장을 추구해왔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회장 겸 CEO인 제임스 헤이거던(James Hagedorn)을 비롯한 창업가 일가의 대규모 매도 행보다. 2025년 1월 30일 헤이거던 회장은 142,733주를 주당 71.52달러에 매도하며 1,020만 달러(약 135억 원)를 현금화했다. 이는 단일 거래로는 상당한 규모로, 그의 확신 있는 매도 의지를 보여준다. 헤이거던 패밀리가 운영하는 헤이거던 파트너십 역시 2024년 8월부터 지속적으로 지분을 매도해왔으며, 2025년 8월에는 7만 주를 주당 62.30달러에 처분하며 436만 달러를 회수했다. 하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EVP인 마크 쉐이워(Mark Scheiwer)는 2025년 9월 3일 1,790주를 주당 61.32달러에 매수했다. 이는 주가가 52주 최저점 근처에서 형성된 시점에서의 매수로, 경영진 차원에서는 현재 주가 수준을 매력적으로 판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가 차트를 살펴보면 이러한 내부자 거래의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SMG는 2024년 6월 61달러 수준에서 9월 83달러까지 36% 상승했으나,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2025년 4월 47달러 저점을 기록했다. 현재는 60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어, 헤이거던 일가는 상당 부분 고점 근처에서 매도한 셈이다. 회사의 실적을 보면 엇갈린 신호가 나타난다. 2025년 3분기 매출은 11.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지만, 주당순이익(EPS)은 2.59달러로 애널리스트 예상치 2.19달러를 18% 상회했다. 특히 전통적인 미국 소비자 사업부는 10.3억 달러 매출로 1.3% 성장하며 안정성을 보여줬다. 하지만 성장 동력으로 기대했던 호손 사업부의 급격한 위축이 우려스럽다. 3분기 매출이 3,12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3.9% 급감한 것은 실내원예 및 대마초 관련 시장의 예상보다 빠른 성숙과 경쟁 심화를 반영한다. 이 사업부는 과거 회사의 성장 스토리였으나, 현재는 전체 실적의 발목을 잡고 있다. 재무 건전성 면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총 부채 24.7억 달러 대비 현금은 5,200만 달러에 불과해 높은 레버리지 구조를 보인다. 배당수익률은 4.38%로 매력적이지만, 지급비율이 320%를 넘어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이는 헤이거던 일가의 지분 매도가 단순한 차익실현을 넘어 회사의 재무 부담을 우려한 것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밸류에이션 관점에서는 매력이 있다. 선행 주가수익비율(P/E) 13.72배는 과거 실적 기준 73.54배 대비 크게 낮아 시장이 향후 실적 개선을 예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PEG 비율 0.23은 성장성 대비 저평가 상태를 나타낸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변곡점은 다음과 같다. 긍정적으로는 전통 사업의 견실함, 운영 효율성 개선, 그리고 저평가된 밸류에이션이다. 호손 사업부의 매출 감소가 바닥을 찾고 전통 사업부가 지속 성장한다면 현재 주가 수준은 매력적일 수 있다. 반면 주의해야 할 신호로는 호손 사업부의 추가 위축, 높은 부채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 그리고 배당 지급능력 악화 등이다. 특히 전체 매출의 성장률이 업계 평균 4.5% 대비 1.4%에 그치는 것은 구조적 성장 둔화를 의미한다. 시나리오별로 보면, 낙관적 경우 전통 사업의 안정적 성장과 호손 사업부의 구조조정 완료로 수익성이 개선되어 주가가 75-80달러 수준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 가장 가능성 높은 기본 시나리오는 현재 수준에서 박스권 등락을 반복하며 배당수익률에 의존한 투자 논리가 지속되는 것이다. 리스크 시나리오로는 호손 사업부의 추가 악화와 부채 부담 증가로 배당 삭감이 불가피해지며 주가가 50달러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다. 결론적으로 $SMG는 전통적 우량 배당주의 특성과 성장 사업의 구조적 도전이라는 상반된 요소가 공존하는 전환기 기업이다. 창업가 일가의 지분 매도는 우려스럽지만, 일반 경영진의 최근 매수는 현재 주가 수준에서의 투자 가치를 인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