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PUS
하이퍼스케일 데이터($GPUS) 95% 폭락에도 내부자 '수천만 달러' 역매수... AI 데이터센터 전환 베팅 승부수
2025.09.10 23:07
AI 점수
연속 매수
요약
- 하이퍼스케일 데이터($GPUS) 주가가 95% 폭락했지만, 핵심 내부자 밀턴 올트는 수천만 달러를 투입해 지속적 매수 중
- AI 데이터센터 사업 전환으로 Q2 2025 매출 45% 성장, 미시간 340MW 시설 구축 계획
- 극도로 높은 부채비율(1,444%)과 지속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사업 다각화와 재무구조 개선 노력 지속
긍정 요소
- 핵심 내부자가 주가 하락 속에서도 수천만 달러 규모의 지속적 매수로 강력한 신뢰 신호 전달
- Q2 2025 매출 2,58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5% 성장, AI 데이터센터 사업 전환 효과 가시화
- 비트코인 마이닝 재개로 연초 대비 1,120만 달러 수익 창출, 다각화된 수익원 확보
- 2,500만 달러 부채 감소 및 1억 달러 우선주 발행 합의로 재무 유연성 개선
- 미시간 340MW AI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고성장 시장 진출, NVIDIA GPU 배치 시작
부정 요소
- 연간 순손실 5,836만 달러로 심각한 수익성 문제 지속, 영업마진 -39%
- 부채비율 1,444%로 극도로 높은 레버리지, 유동비율 0.31로 단기 유동성 위험
- 주가 95% 폭락으로 주주 가치 심각한 훼손, 시가총액 1,311만 달러까지 축소
- 영업현금흐름 -1,253만 달러로 현금 창출 능력 부족, 지속적 현금 소진 구조
- AI 데이터센터 시장 경쟁 심화 및 높은 자본 투자 요구로 수익성 확보 불확실성 증대
전문가
AI 데이터센터 시장은 ChatGPT 등 생성형 AI 붐으로 폭발적 성장 중이나, 자본 집약적 특성과 NVIDIA GPU 공급 제약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다.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의 340MW 미시간 시설은 상당한 규모이지만, 아마존 AWS, 마이크로소프트 등 거대 클라우드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다. 특히 높은 부채비율은 자본 집약적인 이 업계에서 성장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
전일종가
$0.4
+0.02(6.20%)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5.07
매수 평단가
$5.2
매도 평단가
$712.7K
매수 대금
$10.41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 공시일 | 내부자명 | 직책 | 거래유형 | 평단가 | 거래대금 |
---|---|---|---|---|---|---|
09/11/2025 | 09/11/2025 | 매도 | $ |
하이퍼스케일 데이터($GPUS)는 AI 데이터센터, 비트코인 마이닝, 크레인 렌탈 등 다각화된 사업을 영위하는 소형주다. 2024년 Ault Alliance에서 현재 이름으로 변경하며 AI 데이터센터 사업에 집중하기로 한 이 회사가 투자자들에게 극단적인 딜레마를 제공하고 있다. 주가는 95% 폭락했지만, 핵심 내부자는 수천만 달러를 투입해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주목할 점은 밀턴 올트 3세(Milton C. Ault III) 임원의 매수 패턴이다. 2024년 6월부터 시작된 그의 매수는 주가 하락에도 멈추지 않았다. 6월 17일 9.77달러에 35만 주를 341만 달러에 매수한 것을 시작으로, 8-9월 기간 동안 총 670만 주를 약 4,850만 달러에 매수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주가가 1달러 아래로 떨어진 2025년 6월과 8-9월에도 매수를 지속했다는 점이다. 가장 최근인 9월 8-9일에는 0.38-0.40달러 수준에서 3,600주를 추가 매수했다. 이러한 내부자 매수는 단순한 신뢰 표현을 넘어선다. 올트는 자신의 개인 자산과 Ault & Company를 통해 총 수천만 달러를 투입했으며, 이는 현재 시가총액(약 1,311만 달러)의 몇 배에 달하는 규모다. 반면 CEO 윌리엄 호른(William B. Horne)이 2024년 12월 소량 매도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회사의 사업 전환도 주목할 만하다. 2025년 2분기 매출은 2,58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 성장했고,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1억2,500만-1억3,500만 달러로 제시했다. AI 데이터센터 사업에서는 미시간주에 340MW 규모의 대형 시설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9년까지 전체 완공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 마이닝 사업도 재개하여 연초 대비 1,120만 달러의 마이닝 수익을 기록했다. 재무 구조 개선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 회사는 2,500만 달러의 부채를 줄여 재무 유연성을 확보했고, 최대 1억 달러 규모의 우선주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에 합의했다. 하지만 여전히 부채비율이 1,444%에 달하고 유동비율이 0.31에 불과해 재무 안정성에는 우려가 남는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지표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으로는 매출이 지속 성장하고 있고, AI 데이터센터라는 고성장 시장에 진출했으며, 내부자의 강력한 매수 신호가 있다. 하지만 여전히 연간 5,836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고, 극도로 높은 부채비율과 낮은 유동성이 리스크 요소다. 향후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낙관적인 경우 AI 데이터센터 사업의 본격화와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맞물려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NVIDIA GPU 배치가 시작된 미시간 시설이 궤도에 오르면 상당한 매출 기여가 예상된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리스크도 크다. 높은 부채비율로 인한 이자 부담이 지속되고, AI 데이터센터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수익성 확보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가장 가능성 높은 기본 시나리오는 단기적으로 극도의 변동성이 지속되면서도, 사업 전환이 완료되는 2025년 말~2026년 초부터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는 것이다. 다만 투자 논리가 무너지는 기준점은 명확하다. 올트 임원의 매수가 중단되거나, 부채 상환 능력에 대한 우려가 본격화되거나, AI 데이터센터 사업 진전이 기대보다 지연될 경우 추가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종합적으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는 극단적 저평가 상황에서 사업 전환의 성공 여부에 모든 것이 달린 고위험-고수익 투자 기회로 평가된다. 내부자의 지속적 매수는 긍정적 신호이지만, 재무 건전성 우려와 사업 실행 리스크를 감안할 때 소액 분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