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FDS

팩트셋($FDS) CLO, 15개월 만에 첫 매수...CEO 지속 매도와 극명 대조

2025.09.25 20:25

AI 점수

C 레벨

요약

  • 팩트셋($FDS) CLO가 15개월 만에 첫 내부자 매수를 단행, CEO의 지속적 매도 패턴과 대조적
  • 주가가 고점 대비 31% 하락한 가운데 안정적 구독 기반과 높은 수익성 유지
  • UBS가 최근 매수 등급 상향, 레이몬드 제임스는 인수 타겟 가능성 제기

긍정 요소

  • 고위 임원의 첫 매수 거래로 내부자들의 주가 바닥 판단 신호
  • 구독 기반 비즈니스 모델의 안정성과 29.71% 영업이익률 유지
  •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대비 현재 주가의 상당한 할인 상황
  • 레이몬드 제임스의 인수 타겟 가능성 언급으로 프리미엄 기대감

부정 요소

  • CEO의 15개월간 지속된 월 3천 주 매도로 투자심리 악화
  • 트럼프 관세 정책과 기술주 부진으로 고객 지출 감소 우려
  • 제프리스의 목표주가 대폭 하향 조정($486→$315)으로 전망 악화
  • AI 기술 발전으로 장기적 수요 구조 변화 리스크

전문가

금융 기술 섹터에서 팩트셋의 CLO 매수는 매우 이례적인 신호입니다. B2B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구독 기반 모델은 경기 방어력이 강하며, 현재 P/E 18.3배는 동종업계 평균 대비 할인된 수준입니다. AI 위협론에도 불구하고 금융 데이터 분석의 복잡성과 규제 요구사항을 고려하면 단기간 내 대체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보입니다.

전일종가

$283.73

-2.43(0.85%)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0

매수 평단가

$458.97

매도 평단가

$0

매수 대금

$31.17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09/26/2025

09/26/2025

매도

$

팩트셋 리서치 시스템즈($FDS)에서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고위 임원의 주식 매수 거래가 포착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9월 23일 최고법률책임자(CLO) 크리스토퍼 맥클라우글린이 주당 296.92달러에 337.62주를 매수한 것으로 공시됐다. 이는 2024년 6월부터 프레더릭 스노우 CEO가 매월 3천 주씩 규칙적으로 매도해온 패턴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CEO는 지금까지 총 15회에 걸쳐 45,000주를 매도하며 약 2,050만 달러를 현금화했다. 이런 상황에서 다른 고위 임원이 자신의 돈으로 주식을 매수한 것은 회사 내부의 현재 주가 평가에 대한 강력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팩트셋은 1978년 설립된 금융 데이터 및 분석 솔루션 제공업체로, 전 세계 자산운용사, 투자은행, 헤지펀드 등에 구독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약 9,000개 고객과 23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며, 연간 구독 가치(ASV) 24억 달러 규모의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구축했다. 주요 경쟁사로는 블룸버그, 리피니티브(전 톰슨로이터 파이낸셜) 등이 있으며, 금융 정보 서비스 업계에서 견고한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2024년 11월 490달러 고점 대비 약 31% 하락한 수준이다. 이러한 급락은 2025년 초부터 본격화된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 관세 정책에 따른 시장 불안감과 기술주 전반의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미국 증시는 2월 고점 대비 4조 달러 가치가 증발하며 큰 타격을 받았고, 팩트셋처럼 기업 고객에 의존하는 B2B 기술 서비스 기업들은 특히 어려운 환경에 놓였다. 하지만 재무적 기초 체력은 여전히 탄탄하다. 가장 최근 분기 실적에서 매출 597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로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상회했고, ASV 성장률도 건전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주당순이익 15.54달러, 영업이익률 29.71%를 기록하며 높은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 구독 기반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상 매출 예측 가능성이 높고 고객 이탈률이 낮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의 시각은 엇갈리고 있다. 지난 3월 제프리스는 수요 둔화를 이유로 목표주가를 486달러에서 315달러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하지만 9월 들어 UBS가 중립에서 매수로 등급을 상향 조정하며 "AI 파괴 우려로 과도하게 저평가됐다"고 평가했다. 현재 21개 중개회사 중 3곳이 매수, 12곳이 보유, 6곳이 매도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중간 목표주가는 470달러다. 특히 주목할 점은 8월 레이몬드 제임스가 "주가 급락으로 인수 타겟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한 것이다. 팩트셋의 안정적인 구독 수익 구조와 높은 수익성, 그리고 현재의 저평가된 밸류에이션은 전략적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P/E 비율 18.3배는 과거 평균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이며, 시가총액 107억 달러 규모는 대형 테크 기업이나 사모펀드의 인수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긍정적 신호는 구독 고객 수와 사용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총 고객 수는 8,996개로 예상치를 웃돌았고, 사용자 수도 23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팩트셋의 서비스가 금융업계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해외 시장,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성장세도 양호하다. 반면 경계해야 할 위험 요인으로는 고객들의 지출 감소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다. 금융회사들이 비용 절감 압박을 받으면서 구독 서비스 갱신을 미루거나 사용자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AI 기술 발전으로 일부 분석 업무가 자동화되면서 장기적으로 수요 구조가 변화할 위험도 있다. 경쟁사 블룸버그의 시장 지배력도 여전히 위협 요인이다. 현재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관찰 포인트는 CLO의 매수 거래가 일회성인지, 아니면 다른 임원들의 매수로 이어지는 신호탄인지 여부다. 만약 추가 임원들이 매수에 나선다면 이는 회사 내부에서 주가 바닥을 확신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가 될 것이다. 또한 다가오는 분기 실적에서 고객 이탈률과 신규 계약 체결 현황을 면밀히 지켜봐야 한다. 투자 전략 관점에서 보면, 현재 주가 수준은 중장기 관점에서 매력적인 진입 구간으로 판단된다. 특히 배당수익률 1.54%와 함께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고려하면 방어적 성장주로서의 가치가 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기술주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점진적 접근이 바람직하다. 목표주가 대비 현재 주가의 할인폭을 감안하면 12-18개월 투자 기간을 염두에 둔 투자자들에게 고려해볼 만한 기회로 보인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