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EPAM

EPAM Systems($EPAM), 19% 성장에도 40% 급락... 10억달러 자사주 매입 vs 내부자 매도의 진실

2025.11.10 22:28

AI 점수

C 레벨

요약

  • EPAM Systems는 강한 실적(Q3 매출 19.4% 성장, EPS 예상치 상회)을 기록했지만 주가는 2024년 말 고점 대비 40% 급락한 상태
  • 내부자들은 2024년 말-2025년 초 고점에서 대량 매도했지만, 최근에는 ESPP를 통한 소액 매수에 참여하며 엇갈린 신호를 보임
  • 회사는 10억 달러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2025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해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207달러와 현재 주가 153달러 간 35% 괴리 상황

긍정 요소

  • 3분기 매출 19.4% 성장으로 컨센서스 전망 상회, 금융서비스(32.7%)와 신흥 버티컬(38.9%) 부문의 강력한 성장세
  • 현금 12억4천만 달러 보유 및 부채비율 4.17%의 보수적 재무구조로 10억 달러 자사주 매입 여력 충분
  • 2025년 가이던스 지속 상향 조정(매출 성장률 14.8-15.2%, 조정 EPS 11.36-11.44달러)으로 AI 수요 확산 수혜
  • 애널리스트 17명 중 13명 매수 의견, 평균 목표주가 207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35% 상승여력
  • 최근 경영진 7명이 ESPP를 통해 동시 매수 참여로 회사 전망에 대한 내부 신뢰도 확인

부정 요소

  • 주요 임원들의 2024년 말-2025년 초 집중적 매도(CFO Peterson 약 65만 달러, Officer Dvorkin 173만 달러 현금화)
  • AI 섹터 전반의 stretched valuations 우려로 IT 서비스 업계에 마진 압박 및 계약가격 하락 압박
  • 베타 1.77로 시장 평균보다 77% 높은 변동성, 시장 불안정 시 더 큰 하락 리스크
  • 최근 Sergey Yezhkov의 대량 매도(10월 175만 달러 규모)로 내부자 신뢰도에 의문
  • Morgan Stanley의 IT 서비스 섹터 'Cautious' 하향으로 업계 전반 성장 둔화 우려

전문가

IT 서비스 업계 관점에서 EPAM의 현재 상황은 섹터 내 구조적 변화를 반영하는 전형적 사례입니다. AI 도입 가속화로 전통적 IT 서비스 모델이 도전받고 있지만, EPAM처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AI 전문성을 갖춘 업체들은 오히려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내부자 거래 패턴은 단기적 주가 변동성에 대한 경영진의 우려를 시사하며, 섹터 전반의 밸류에이션 재평가 과정에서 일시적 조정 불가피해 보입니다.

전일종가

$182.46

+7.16(4.08%)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0

매수 평단가

$197.3

매도 평단가

$0

매수 대금

$8.54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11/11/2025

11/11/2025

매도

$

EPAM Systems($EPAM)이 투자자들에게 복잡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 글로벌 IT 서비스 대기업은 뛰어난 실적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2024년 말 고점 대비 약 40% 급락한 상태다. 이러한 괴리 현상은 현재 시점에서 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제시할 수도, 아니면 더 큰 위험의 전조일 수도 있다. 펜실베니아주 뉴타운에 본사를 둔 EPAM은 1993년 설립 이후 디지털 플랫폼 엔지니어링과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성장했다. 금융서비스, 소매·여행, 소프트웨어·하이테크, 생명과학·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분석, AI,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62,35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시가총액 101억 달러 규모의 대형주로 분류되는 이 회사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성과를 보여줬다.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회사의 실적과 주가 사이의 극명한 대조다. 2025년 11월 발표된 3분기 실적에서 EPAM은 매출 13억9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4% 성장했으며, 이는 컨센서스 전망 13억7천만 달러를 1.44% 상회하는 수치였다. 주당순이익(EPS) 3.08달러 역시 예상치 3.02달러를 웃돌았다. 특히 금융서비스 부문은 32.7%, 신흥 버티컬은 38.9%의 강력한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러한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153달러 수준에서 머물고 있어,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주가 207달러와 35% 가량의 괴리를 보이고 있다. 내부자 거래 패턴을 살펴보면 더욱 복잡한 그림이 그려진다. 2024년 1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주요 임원들의 매도 거래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CFO Jason Peterson은 2024년 11월 237달러에 1,000주, 2024년 12월 257달러에 464주, 2025년 1월 257달러에 1,078주를 매도했다. Officer Viktar Dvorkin은 2024년 12월 256.61달러에 6,758주를 매도해 173만 달러의 현금을 확보했다. 이들 거래는 모두 10b5-1 거래계획에 따른 것으로, 주가가 고점을 형성하던 시기와 정확히 일치한다. 흥미롭게도 2025년 4월과 10월에는 정반대 패턴이 나타났다. 7명의 주요 임원들이 동시에 소액 매수에 나섰는데, 4월 30일에는 주당 133.37달러에, 10월 31일에는 134.69달러에 각각 약 7,500달러씩 매수했다. 이는 직원주식구매계획(ESPP)을 통한 정기적 매수로, 회사가 할인된 가격에 주식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비록 소액이지만 CEO를 포함한 경영진 전체가 동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최근 Sergey Yezhkov의 대량 매도는 다시 한번 주의신호를 보낸다. 그는 2025년 10월 2일과 21일에 걸쳐 총 1만1,590주를 매도해 약 175만 달러를 현금화했다. 평균 매도가는 150.86달러와 150.27달러로, 현재 주가 수준과 유사하다. 이는 단순한 차익실현을 넘어선 전략적 판단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회사 차원에서는 상반된 신호를 보내고 있다. 2025년 10월 EPAM은 24개월 기간의 10억 달러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CFO Peterson은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강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자사주 매입과 AI 투자를 동시에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금 보유액 12억4천만 달러, 부채비율 4.17%의 보수적인 재무구조는 이러한 계획을 뒷받침한다. 시장 환경도 복잡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2025년 11월 초 미국 시장에서는 AI 관련 주식들이 'stretched valuations' 우려로 급락세를 보였다. Oracle, AMD, Broadcom, Nvidia 등 주요 AI 주식들이 한 주 동안 상당한 하락을 기록했으며, 나스닥은 4월 이후 최악의 주간 성과(-3%)를 기록했다. Morgan Stanley는 미국 IT 서비스 섹터를 'Cautious'로 하향 조정하며 "AI가 계약 가격 압박과 마진 압박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EPAM의 경우 이러한 섹터 우려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회사는 지속적으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해왔다. 2025년 5월 1분기 실적 발표 시 연간 매출 성장률 전망을 10-14%에서 11.5-14.5%로 상향했고, 11월에는 다시 14.8-15.2%로 올렸다. 조정 EPS 가이던스도 11.36-11.44달러로 상향 조정해 애널리스트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이는 AI 및 시스템 현대화에 대한 강한 수요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지표들이 있다. 먼저 향후 분기별 실적 발표에서 금융서비스와 신흥 버티컬 부문의 성장 지속성을 확인해야 한다. 두 부문 합쳐 3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전체 성장의 핵심 동력이다. 또한 고정가격 계약 비중 확대(40% 성장)가 지속될지도 중요한 관찰 포인트다. 이는 매출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긍정적 변화다.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와 규모도 주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현재 주가 153달러 수준에서 10억 달러 규모 매입이 진행된다면 상당한 주가 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내부자들의 추가 매도 계획이 없는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리스크 요소들도 상당하다. AI 섹터 전반의 밸류에이션 조정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고, IT 서비스업계의 구조적 변화로 인한 마진 압박도 우려된다. 또한 베타값 1.77로 시장 평균보다 77% 높은 변동성을 보이는 만큼, 시장 불안정 시 더 큰 하락폭을 경험할 수 있다. 현재 상황을 종합하면, EPAM은 강한 펀더멘털을 바탕으로 한 저평가 상황에 놓여 있다. P/E 비율 27.8배는 IT 서비스업계 평균 수준이지만, 19% 성장률과 상향된 가이던스를 고려하면 매력적이다. 애널리스트 17명 중 13명이 매수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JP Morgan은 목표주가를 201달러에서 215달러로 상향했다. 결정적인 투자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단기적으로는 다음 분기 실적에서 금융서비스 부문 성장률 30% 이상 유지와 신흥 버티컬 성장 지속성이 핵심이다. 중기적으로는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진행상황과 AI 관련 매출 기여도 확대가 중요하다. 주가가 180달러를 안정적으로 돌파한다면 목표주가 215달러까지의 상승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다. 반대로 140달러 아래로 하락한다면 섹터 전반의 구조적 문제가 현실화되는 신호로 해석해야 한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