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X
크록스($CROX) 50% 급락 중 전CEO 출신 이사 72만달러 매수...Forward P/E 6.82 극저평가 vs 관세 우려
2025.11.12 22:10
AI 점수
요약
- 크록스($CROX) 주가가 50% 가까이 하락한 상황에서 John Replogle 이사가 3차례에 걸쳐 총 72만 달러 규모 매수를 단행했다.
- 실적은 지속적으로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관세 우려와 3분기 가이던스 하향으로 주가가 급락했다.
- Forward P/E 6.82의 저평가 상황과 강한 현금흐름에도 불구하고 높은 부채비율과 소비 둔화가 리스크 요인이다.
긍정 요소
- 내부자(특히 전 CEO 출신 이사)들의 지속적인 매수로 경영진의 회사 가치에 대한 확신을 보여줌
- Forward P/E 6.82로 극도로 저평가된 상황에서 향후 실적 개선 기대감 반영
- 운영현금흐름 7.8억 달러, 운영마진 20.84% 유지로 탄탄한 수익성과 현금창출력 보유
- 독특한 브랜드 파워와 다채널 유통망을 통한 시장 지위 유지
부정 요소
- 3분기 매출 9-11% 감소 가이던스로 성장 모멘텀 둔화 우려
- 관세 정책으로 인한 운영마진 압박과 신발업계 전반의 비용 상승 압력
- 부채비율 125.14%로 높은 재무 레버리지가 경기 둔화 시 위험 요인
- TTM 매출 6.2% 감소와 분기 순이익 27% 하락으로 실적 악화 추세
전문가
소비재 업계 관점에서 크록스의 현 상황은 단기적 역풍과 구조적 강점이 교차하는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관세 이슈와 소비 둔화는 업계 전반의 공통된 도전이지만, 내부자 매수는 경영진의 장기적 확신을 보여주는 강력한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전일종가
$74.47
-0.53(0.71%)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78.37
매수 평단가
$108.85
매도 평단가
$725.84K
매수 대금
$3.46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 공시일 | 내부자명 | 직책 | 거래유형 | 평단가 | 거래대금 |
|---|---|---|---|---|---|---|
11/12/2025 | 11/12/2025 | 매도 | $ |
크록스($CROX)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단순하다. 주가가 50% 가까이 폭락한 상황에서 내부자들이 꾸준히 매수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사진들의 매수 타이밍과 규모가 심상치 않다. 크록스는 1999년 설립된 캐주얼 신발 브랜드로, 독특한 클로그 디자인으로 전 세계적인 인지도를 확보한 기업이다. 크록스 브랜드와 헤이듀드(HEYDUDE) 브랜드를 통해 클로그, 샌들, 스니커즈, 부츠 등 다양한 캐주얼 신발과 액세서리를 제조·판매한다. 도매, 리테일, 전자상거래 등 다채널 유통 전략을 구사하며 약 7,91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John Replogle 이사의 움직임이다. 그는 2024년 8월부터 2025년 11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총 7,497주를 매수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매수 타이밍이다. 2024년 8월 2일 주가 123.31달러에서 1,996주, 2025년 8월 8일 74.39달러 근처에서 3,261주, 그리고 최근 2025년 11월 11일에는 74.50달러에 3,000주를 추가 매수했다.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매수 규모를 늘려가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총 매수 금액은 약 72만 달러에 달한다. Replogle 이사는 크록스의 전 CEO(2014-2017)로, 재임 기간 동안 회사를 성공적으로 턴어라운드시킨 경험이 있다. 그의 과거 매매 이력을 보면 대체로 저점에서 매수하는 패턴을 보여왔으며, 회사의 내재가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Susan Healy EVP(현 전 CFO)도 2024년 11월과 2025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총 3,000주를 매수했다. 반면 다른 임원들은 대부분 매도에 나섰다. CEO Andrew Rees는 2024년 6월 1만 주를 매도했고, 여러 EVP들도 상당한 규모의 매도 거래를 진행했다. 이는 일반적인 내부자 거래 패턴과는 상반된다. 보통 주가가 하락할 때는 내부자들도 매도 압박을 받기 마련인데, 일부 핵심 인사들만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다는 점이 의미심장하다. 주가 움직임을 살펴보면 2024년 6월 153.93달러에서 시작해 2025년 9월 현재 80.54달러까지 약 48% 하락했다. 특히 두 차례 큰 하락이 있었다. 2024년 10월 29일 실적 발표 후 138.05달러에서 111.58달러로 19% 급락했고, 2025년 8월 7일에는 105.13달러에서 74.39달러로 29% 폭락했다. 역설적이게도 실적은 나쁘지 않았다. 2024년 3분기에는 주당순이익 3.60달러로 예상치 3.10달러를 크게 상회했고, 매출도 10.6억 달러로 예상치를 웃돌았다. 2025년 1분기에도 조정 EPS 3.00달러로 예상치 2.48달러를 넘어섰다. 그럼에도 주가가 하락한 이유는 가이던스 우려와 관세 이슈 때문이다. 2025년 8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회사는 3분기 매출이 9-11%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0.3% 성장과는 정반대였다. 또한 관세로 인한 운영마진 압박도 언급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신발업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록스에도 직격탄이 된 것이다.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 크록스는 복합적인 모습을 보인다. TTM 매출은 40.7억 달러로 전년 대비 6.2% 감소했지만, 운영현금흐름은 7.8억 달러로 견고하다. 운영마진도 20.84%를 유지하며 수익성은 양호한 편이다. 다만 부채비율이 125.14%로 높아 재무 레버리지가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가장 주목할 지표는 Forward P/E 6.82다. 이는 시장이 향후 실적 개선을 크게 기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Trailing P/E가 25.85인 것과 비교하면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주가는 89.50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20% 이상의 상승 여력을 보고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 고려할 요소들을 정리하면, 긍정적 측면으로는 내부자 매수세, 저렴한 밸류에이션, 강한 현금흐름, 탄탄한 브랜드 파워를 들 수 있다. 부정적 측면으로는 관세 우려, 가이던스 하향, 높은 부채비율, 소비 둔화 우려 등이 있다. 향후 주목할 포인트는 3분기 실적과 가이던스다. 회사가 제시한 9-11% 매출 감소 전망이 실제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관세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가 주가 방향을 좌우할 것이다. 또한 내부자들의 추가 매수 여부도 투자자들이 지켜봐야 할 시그널이다. 크록스는 현재 기로에 서 있다. 일시적 어려움인지 구조적 문제인지에 따라 투자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내부자들의 지속적인 매수는 분명 긍정적 신호로 해석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