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KRT

Karat Packaging($KRT), 경영진 4천660만달러 매도 후 20% 급락...CFO 소량 매수는 바닥 신호인가

2025.11.14 21:40

AI 점수

C 레벨

요약

  • Karat Packaging($KRT) 경영진이 6월 총 4천660만 달러 규모 매도 후 주가 20% 하락, 하지만 11월 CFO가 소량 매수
  • 2분기 매출 10.1% 성장하며 예상치 상회했으나 EPS는 연속 미달, 중국 공급망 의존도 10%로 감소 성과
  • 애널리스트들 'Buy' 레이팅과 35달러 목표가 유지하나, 지속적 실적 부진으로 투자 신중론 필요

긍정 요소

  • 2분기 매출 1억2천399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1% 성장하며 애널리스트 예상치 상회
  • 중국 공급망 의존도를 10%까지 줄여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
  • CFO가 11월 주당 22.11달러에 자사주 매수로 경영진의 저평가 인식 시사
  • 대폭 하락한 주가로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 진입점 제공 가능성

부정 요소

  • 경영진이 6월 총 4천660만 달러 규모 대량 매도로 투자자 신뢰도 하락 및 주가 20% 급락
  • 2분기 EPS 57센트로 예상치 60센트 미달, 최근 몇 분기 연속 실적 부진 지속
  •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소비자 신뢰도 급락, 외식업계 타겟 고객 지출 감소 우려
  • 지속적인 EPS 미달에도 불구한 애널리스트 낙관론의 현실성 의문

전문가

소비재 포장 업계 관점에서 Karat Packaging의 중국 공급망 의존도 10% 달성은 업계 리스크 관리의 모범사례다. 다만 외식업계의 소비 둔화와 지속적인 수익성 압박은 업계 전반이 직면한 구조적 도전이다.

전일종가

$22.21

-0.12(0.54%)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22.11

매수 평단가

$0

매도 평단가

$30.09K

매수 대금

$0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11/16/2025

11/16/2025

매도

$

식품 포장재 전문업체 Karat Packaging($KRT)이 투자자들에게 복합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지난 6월 경영진의 대규모 매도 이후 주가가 20% 가까이 하락한 상황에서, 최근 CFO의 소량 매수가 눈에 띈다. 캘리포니아 기반의 Karat Packaging은 일회용 식품 포장재 및 식기류 제조업체로, 레스토랑, 카페, 푸드트럭 등 외식업계를 주요 고객으로 한다. 시가총액 4억4천640만 달러의 소형주이지만, 지속가능한 친환경 포장재 솔루션으로 시장에서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움직임은 6월 12일과 27일 이틀에 걸친 경영진의 대규모 매도다. CEO Alan Yu와 임원 Marvin Cheng가 각각 750,000주씩을 주당 27달러에 매도했고, 이후 추가로 112,500주씩을 같은 가격에 처분했다. 총 매도 규모는 4천660만 달러에 달한다. 이는 3월 28일 발효된 S-3 등록서류와 6월 10일 인수 계약에 따른 2차 공모의 일환이었다. 이 대규모 매도 발표 직후 주가는 7.5% 급락했으며,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6월 말 31달러 근처에서 거래되던 주가는 현재 24달러 수준까지 내려앉았다. 투자자들이 경영진의 매도 의도를 부정적으로 해석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11월 12일 CFO Jian Guo의 1,361주 매수(약 3만 달러)가 새로운 변수다. 비록 소규모이지만, 재무 책임자가 주당 22.11달러에 자사주를 매수한 것은 경영진이 현재 주가 수준을 매력적으로 본다는 신호일 수 있다. 실적 면에서는 혼재된 모습이다. 2025년 2분기 매출은 1억2천399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해 애널리스트 예상치(1억2천350만 달러)를 상회했다. 특히 중국 공급망 의존도를 10%까지 줄이는 데 성공한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주당순이익(EPS)은 57센트로 예상치 60센트에 못 미쳤고, 이는 지난 몇 분기 지속된 패턴이다. 현재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지표는 다음 분기 실적에서 EPS가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상회할 수 있는지 여부다. 매출 성장은 지속되고 있지만 수익성 개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주가 회복은 어려울 것이다. 또한 경영진이 추가 주식 처분 계획이 있는지도 중요한 관찰 포인트다. 공급망 다각화 성과는 장기적으로 긍정적 요소다. 중국 의존도를 크게 줄인 것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완화하고 공급망 안정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평가할 만하다. 3분기 매출 가이던스도 high single-digit에서 low double-digit 성장을 제시해 성장 모멘텀은 유지되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여전히 'Buy' 레이팅을 유지하며 목표주가 35달러를 제시하고 있다. 현재 주가 대비 약 45% 상승 여력이 있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최근 몇 분기 연속된 EPS 미달을 고려하면 이런 낙관론이 과연 현실적인지 의문이다. 리스크 요인으로는 지속적인 실적 부진, 경영진의 추가 매도 가능성, 그리고 현재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있다. 11월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소비자 신뢰도가 크게 하락한 상황에서 외식업계 타겟 고객들의 지출 감소 우려도 있다. 반면 기회 요소는 현재의 상당한 주가 하락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완화된 점, 공급망 리스크 개선, 그리고 CFO의 매수 신호다. 특히 주가가 22달러 수준까지 떨어진다면 장기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진입 기회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KRT는 경영진 매도 후유증과 실적 부진으로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근본적 사업 모델과 시장 지위는 견고하다. 다음 분기 실적에서 EPS 개선 여부가 향후 투자 방향을 결정할 핵심 변수가 될 것이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