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ALMS

알루미스($ALMS), IPO 후 75% 급락에도 내부자 310만달러 대량매수...2026년 임상결과 앞둔 저평가 매력?

2025.11.20 02:03

AI 점수

연속 매수

요약

  • 알루미스($ALMS) 주요 내부자들이 IPO 이후 75% 하락한 주가 속에서도 11월 17-19일 3일간 약 310만 달러 대량 매수를 단행했다.
  • 2026년 1분기와 3분기 예정된 핵심 임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3억 7,770만 달러 현금으로 2027년까지 운영 자금을 확보한 상태다.
  •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평균 17달러는 현재 대비 약 300% 상승 여력을 제시하며, 임상 성공 시 상업화 단계로의 전환이 기대된다.

긍정 요소

  • 주요 내부자들의 지속적이고 대규모 매수는 임상 데이터에 대한 강한 확신을 시사한다.
  • 3억 7,770만 달러의 충분한 현금 보유로 2027년까지 운영 자금이 확보되어 중요한 임상 결과 발표까지 재정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 2026년 예정된 Phase 3 임상 결과는 FDA 승인과 상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변곡점이다.
  • 아셀리린 합병과 카켄제약 라이센싱으로 파이프라인 확장과 추가 수익원을 확보했다.
  •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주가 17달러는 현재 대비 상당한 상승 여력을 제시한다.

부정 요소

  • IPO 이후 75% 주가 하락으로 투자자 신뢰도가 크게 손상된 상태다.
  • 지속적인 영업손실과 현금 소모로 인한 희석 위험이 존재한다.
  • 임상시험 실패 또는 지연 시 주가 추가 하락 위험이 크다.
  • 규제 승인의 불확실성과 경쟁사 대비 차별화 입증 필요성이 있다.
  • 높은 P/S 배수(20.95)는 과도한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실망 리스크가 존재한다.

전문가

바이오테크 섹터 관점에서 알루미스의 내부자 매수는 중요한 신호다. 임상 단계 바이오 기업에서 전문 VC의 지속적 매수는 단순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넘어선 깊은 확신을 의미한다. 특히 TYK2 억제제 분야는 경쟁이 치열하지만, 2026년 임상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상당한 시장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영역이다. 현재 밸류에이션은 리스크를 상당 부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전일종가

$7.29

+0.37(5.35%)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5.56

매수 평단가

$0

매도 평단가

$4.66M

매수 대금

$0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11/22/2025

11/22/2025

매도

$

알루미스($ALMS)가 IPO 이후 최대 75% 하락한 주가 속에서도 주요 내부자들의 대량 매수가 이어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지난 11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벤처캐피탈 포어사이트 랩스(Foresite Labs)가 총 50만7,874주를 약 310만 달러에 매수한 것은 현재 주가 수준에 대한 내부자들의 강한 확신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알루미스는 2021년 설립된 임상 단계 바이오파마 기업으로, 자가면역 질환과 신경퇴행성 장애를 타겟으로 하는 차세대 경구용 TYK2 억제제를 개발하고 있다. 주력 파이프라인인 ESK-001(엔부듀시티닙)은 중등도-중증 건선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를 대상으로 하며, 2026년 1분기 초 Phase 3 ONWARD 데이터, 3분기 Phase 2b LUMUS 데이터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는 회사의 운명을 가를 중요한 임상 결과들로, 성공 시 큰 주가 상승 모멘텀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6월 IPO 당시 주당 16달러로 상장된 알루미스는 현재 4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어 약 75%의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가 급락에도 불구하고 내부자들은 지속적인 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포어사이트 랩스와 연관된 제임스 타난바움(James Tananbaum) 이사는 2024년 7월 2,500만 달러, 2025년 5월과 11월에도 각각 대량 매수를 단행했다. 이는 단순한 의례적 매수가 아닌 회사의 장기 전망에 대한 깊은 확신을 보여준다. 재무적으로 알루미스는 2025년 9월 기준 약 3억 7,770만 달러의 현금과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어 2027년까지 운영 자금이 확보된 상태다. 이는 중요한 임상 결과 발표까지 충분한 재정적 여유를 제공한다. 또한 최근 아셀리린(Acelyrin)과의 합병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R&D 역량을 강화했으며, 일본 카켄제약과의 라이센싱 계약을 통해 4천만 달러의 선급금과 최대 1억 4천만 달러의 마일스톤 수익을 확보했다. 현재 시점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은 2026년 예정된 임상 데이터 발표다. 만약 Phase 3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온다면 FDA 승인 절차가 시작되고, 이는 상업화 단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애널리스트들의 목표 주가는 평균 17달러로 현재 대비 약 300% 상승 여력을 제시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내부자 매수가 단순한 신호가 아닌 구체적 근거에 기반한 것인지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포어사이트 랩스는 바이오테크 분야의 전문 벤처캐피탈로, 이들의 지속적인 매수는 임상 데이터에 대한 내부 정보나 분석을 바탕으로 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임상시험의 불확실성, 규제 승인 리스크, 지속적인 현금 소모 등은 여전히 주요 위험 요인으로 남아 있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