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TPC

튜터 페리니($TPC) 220% 급등 속에서도 회장은 매도, CEO는 매수...엇갈린 내부자 신호

2025.11.20 19:14

AI 점수

C 레벨

요약

  • 튜터 페리니($TPC) 주가가 18개월간 220% 급등했지만, 회장과 이사진은 지속적으로 대규모 매도를 단행하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혼재된 신호를 보내고 있다
  • 2025년 2분기 매출 21.8% 증가와 211억 달러 역대 최고 백로그를 기록했으며, 최근 맨하탄 버스터미널 프로젝트 등 대형 수주가 이어지고 있다
  • CEO만이 최근 61달러에 매수한 반면, 창업자 가문 회장은 19달러부터 64달러까지 전 구간에서 매도를 지속해 현재 주가 수준에 대한 내부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긍정 요소

  • 2025년 2분기 매출 21.8% 증가하며 13억7천만 달러를 기록, 조정 EPS 0.38달러로 애널리스트 예상 상회
  • 211억 달러 역대 최고 백로그로 향후 2-3년간 안정적 매출 기반 확보
  • 맨하탄 버스터미널(18억7100만 달러), UC샌프란시스코 병원(9억6천만 달러) 등 대형 프로젝트 연이은 수주
  • CEO 게리 스몰리가 최근 61달러에 자사주 매수로 경영진 신뢰도 표출
  • 애널리스트들 매수 등급 유지하며 UBS는 목표주가를 86달러로 상향 조정

부정 요소

  • 회장 로널드 튜터가 2024년 6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주가 전 구간에서 지속적 대규모 매도 단행
  • 이사 레이먼드 오네글리아도 2024년 11월과 2025년 5월 총 35만주 대량 처분
  • 주가가 이미 2024년 초 대비 150% 이상 상승해 추가 상승 여력 제한적
  • 2025년 말 미국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건설업계 같은 경기민감 업종에 리스크 요인
  •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와 소비자 신뢰도 급락으로 공공 인프라 투자 차질 우려

전문가

건설업계 관점에서 튜터 페리니의 211억 달러 백로그는 매우 인상적이며, 미국 인프라법에 따른 대규모 공공투자 본격화로 업계 전반에 수혜가 예상된다. 다만 내부자들의 지속적 매도는 현재 밸류에이션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단기적 주가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다.

전일종가

$60.94

+1.19(1.99%)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61.5

매수 평단가

$55.53

매도 평단가

$307.52K

매수 대금

$45.43M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11/22/2025

11/22/2025

매도

$

튜터 페리니($TPC)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뜨거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18개월간 약 220%의 놀라운 주가 상승을 기록한 이 중견 건설회사가 최근 내부자들의 상반된 거래 패턴으로 시장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튜터 페리니는 1894년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 건설회사로, 토목(Civil), 건축(Building), 전문 건설업(Specialty Contractors) 세 부문을 통해 도로, 교량, 터널, 대중교통 시설, 병원, 상업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캘리포니아주 실마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약 7,500명의 직원을 고용하며, 민간과 공공부문 고객을 대상으로 글로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주가 차트를 보면 2024년 6월 20달러 수준이던 주가가 2025년 9월 64달러까지 치솟으며 극적인 상승세를 보여왔다. 특히 2025년 5월 급등 구간에서는 한 달 만에 22달러에서 36달러로 60% 이상 폭등하기도 했다. 이런 상승세는 회사의 탄탄한 실적과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내부자 거래 데이터를 살펴보면 복잡한 그림이 드러난다. 회장 로널드 튜터(Ronald Tutor)는 2024년 6월부터 올해 9월까지 지속적으로 보유 주식을 매도해왔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그의 매도 규모와 타이밍이다. 2024년 6월 주당 19-20달러대에서 시작된 매도는 올해 8-9월 주당 58-64달러 고점에서도 계속됐다. 총 매도 규모만 해도 수천만 달러에 달한다. 이사 레이먼드 오네글리아(Raymond Oneglia) 역시 2024년 11월과 올해 5월 두 차례에 걸쳐 대규모 매도를 단행했다. 2024년 11월에는 25만주를 주당 28-29달러에, 올해 5월에는 10만주를 주당 36달러대에 처분했다. 흥미롭게도 그의 매도 주식은 O&G Industries를 통해 보유된 것으로, 그는 이 회사의 부회장이자 이사를 겸임하고 있다. 반면 게리 스몰리(Gary Smalley) CEO는 지난 11월 19일 5,000주를 주당 61.51달러에 매수하며 경영진 중 유일한 매수 행보를 보였다. 이는 최근 내부자 거래 중 유일한 매수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회사의 실적을 보면 내부자들의 매도 행보가 더욱 의아하게 느껴진다.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8% 증가한 13억7천만 달러를 기록했고, 조정 주당순이익은 0.38달러로 애널리스트 예상치 0.34달러를 상회했다. 더 인상적인 것은 회사의 백로그(수주잔고)가 211억 달러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최근 수주 소식들도 긍정적이다. 올해 6월에는 맨하탄 미드타운 버스터미널 재개발 프로젝트에서 18억71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따냈고, 9월에는 구아미 국방시설 프로젝트(1억8180만 달러), UC샌프란시스코 베니오프 아동병원 프로젝트(9억6천만 달러) 등 대형 계약들을 연이어 수주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내부자 매매 패턴의 의미 해석이다. 건설업계에서 내부자들의 매도가 반드시 부정적 신호만은 아니다. 특히 로널드 튜터 같은 창업자 가문 출신 경영진들은 개인 자산 다각화나 상속 계획 등을 위해 정기적으로 지분을 처분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그의 매도는 대부분 계획매매(10b5-1 플랜) 형태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매도 규모와 지속성을 고려할 때 단순한 포트폴리오 조정으로만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특히 주가가 크게 오른 시점에서도 매도가 계속됐다는 점은 내부자들이 현재 주가 수준을 충분히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CEO의 최근 매수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회사의 일상 운영을 가장 잘 아는 최고경영자가 61달러 수준에서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것은 향후 주가 상승에 대한 확신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여전히 낙관적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컨센서스 등급은 '매수'이며, 목표주가는 54.50달러로 설정돼 있다. UBS는 지난 11월 매수 등급을 재확인하며 목표주가를 67달러에서 86달러로 대폭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건설업계의 특성상 백로그가 미래 수익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인데, 튜터 페리니의 211억 달러 백로그는 향후 2-3년간 안정적 매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국 인프라법(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에 따른 대규모 공공투자가 본격화되면서 건설업계 전반에 수혜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은 몇 가지 요인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우선 주가가 이미 상당히 올랐다는 점이다. 2024년 초 대비 150% 이상 상승한 현재 수준에서 추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2025년 말 현재 미국 경제 전반에 걸친 불확실성도 고려 요소다.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로 소비자 신뢰도가 크게 하락했고, 인플레이션과 관세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건설업은 경기 민감 업종인 만큼 거시경제 변화에 취약할 수 있다. 내부자 거래 패턴을 종합해보면, 대주주들은 이익 실현에 나서고 있는 반면 경영진은 회사의 장기 전망에 대해 여전히 긍정적 시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주가 조정 압력이 있을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펀더멘털에 기반한 성장 가능성이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백로그 소진 속도, 신규 프로젝트 마진율, 그리고 정부 인프라 예산 집행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26년 상반기 실적이 현재의 높은 기대치를 충족할 수 있을지가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