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FBLA

FB Bancorp($FBLA) 경영진, 1년간 매도 없이 7차례 매수 신뢰 투표...0.65배 PBR 할인 기회 주목

2025.11.21 17:34

AI 점수

C 레벨

요약

  • FB Bancorp($FBLA) 내부자들이 1년간 7차례 연속 매수만 진행하며 회사에 대한 강한 신뢰를 표명
  • 현재 연간 270만 달러 순손실 상황이지만 경영진들이 주가 저점에서 전략적 매수를 단행
  • 0.65배 PBR로 장부가치 대비 할인 거래 중이며, 내부자 매수 패턴이 턴어라운드 가능성 시사

긍정 요소

  • 내부자들의 1년간 7차례 연속 매수로 경영진의 강한 확신 표출
  • 6,608만 달러의 탄탄한 현금 보유로 유동성 리스크 최소화
  • 0.65배 PBR로 자산가치 대비 상당한 할인 거래
  • 주가 저점에서의 전략적 내부자 매수로 바닥 형성 신호 감지
  • 100년 이상의 영업 역사를 가진 안정적인 지역은행

부정 요소

  • TTM 기준 270만 달러 순손실과 -1.54달러 주당순손실로 수익성 악화
  • 지역은행업계의 금리 상승 압박과 순이자마진 수익성 우려
  • 부동산 시장 둔화로 인한 대출 수요 감소 위험
  • 과거 3년, 5년 수익률이 각각 0.41%에 불과한 저조한 주가 성과

전문가

지역은행 섹터 관점에서 FB Bancorp의 내부자 거래 패턴은 매우 이례적이며 긍정적 신호로 해석됩니다. 현재 업계가 순이자마진 압박과 신용 우려에 직면한 상황에서 경영진의 일관된 매수는 회사 특유의 턴어라운드 요인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일종가

$12.25

+0.29(2.42%)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11.56

매수 평단가

$0

매도 평단가

$7.93K

매수 대금

$0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11/22/2025

11/22/2025

매도

$

FB Bancorp($FBLA)의 내부자들이 보내고 있는 신호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뉴올리언스 소재 지역은행 지주회사는 현재 연간 27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영진과 이사들이 1년간 7차례에 걸쳐 자사주를 매수해왔다. 매도 거래는 단 한 건도 없었다. 1908년 설립된 FB Bancorp은 Fidelity Bank의 지주회사로, 전통적인 은행업무와 모기지 뱅킹 사업을 통해 예금 수집, 대출 개시, 모기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가총액 약 2억 4천만 달러의 소형 지역은행이지만, 6,608만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 유동성 측면에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현재 주당 순자산 대비 0.65배에 거래되고 있어 장부가치 대비 할인된 상태다.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내부자들의 매수 타이밍이다. 2025년 6월 주가가 10달러 근처까지 하락했을 때, Christopher Ferris 사장은 10.88달러에 500주를, Josh Folds 임원은 10.82달러에 1,846주를 매수했다. 이는 단순한 의례적 매수가 아닌 전략적 매수로 보인다. 특히 Folds 임원의 경우 약 2만 달러 규모의 비교적 큰 매수를 단행했다. 내부자 매수가 집중된 시기를 분석하면, 회사의 펀더멘털 개선에 대한 경영진의 강한 확신을 엿볼 수 있다. 2024년 11월 Gerard Barousse 이사는 12.21달러에 5,000주(약 6만 1천 달러)를 매수했고, 2025년 2월과 3월에는 Todd Wanner CFO와 Randall Baker COO가 각각 소규모 매수를 진행했다. 가장 최근인 2025년 11월에도 Ferris 사장이 12.03달러에 추가 매수를 단행했다. 지역은행업계는 현재 어려운 환경에 직면해 있다. 금리 상승으로 인한 순이자마진 압박과 부동산 시장 둔화가 대출 수요를 제약하고 있다. FB Bancorp 역시 TTM 기준 -1.54달러의 주당순손실을 기록하며 수익성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역풍 속에서도 내부자들의 일관된 매수는 시장이 놓치고 있는 무언가가 있음을 시사한다. 내부자 거래 패턴을 더 깊이 들여다보면, 경영진이 회사의 터닝포인트를 예상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25년 9월-10월 사이 예정된 실적 발표를 앞두고 11월 추가 매수가 이뤄진 점은 의미심장하다. 만약 내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경영진이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다면, 3분기 실적이나 향후 전망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지표는 다음과 같다. 순이자마진 개선, 대손충당금 감소, 그리고 모기지 뱅킹 부문의 수수료 수익 증가가 핵심 변수다. 또한 현재 0.65배 PBR은 동종업계 평균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자산 가치 대비 저평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각도 시나리오를 고려해볼 때,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금리 안정화와 함께 순이자마진이 개선되고, 부실자산 정리가 마무리되면서 3-4분기부터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본 시나리오로는 2025년 하반기 손익분기점 달성 후 점진적 수익성 회복이 가능하다. 하지만 리스크 시나리오에서는 지역 경제 악화나 부동산 시장 추가 하락 시 손실 확대와 자본 잠식 위험이 있다. 현재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내부자 매수 지속 여부와 3분기 실적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만약 실적 개선과 함께 내부자 매수가 계속된다면 저점 매수 기회일 수 있지만, 실적 악화 시에는 추가 하락 위험을 경계해야 한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