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NRDY

Nerdy($NRDY) CEO의 18개월간 2,800만 달러 매수 vs 지속되는 적자, 무엇을 믿어야 할까?

2025.11.26 03:13

AI 점수

연속 매수

C 레벨

요약

  • Nerdy($NRDY) CEO가 18개월간 2,800만 달러 이상을 투입해 자사주를 대규모 매수하며 강한 신뢰를 표명
  • 회사 실적은 여전히 부진해 2025년 2분기 매출 11% 감소, 적자 지속되고 있어 CEO 확신과 대조
  • 다른 임원들은 정기적 매도를 이어가고 있으며,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2달러는 57% 상승 여력 제시

긍정 요소

  • CEO가 개인 자금 2,800만 달러 이상 투입하며 회사의 미래 가치에 대한 강한 확신 표명
  • AI 기반 Live Learning Platform 2.0 출시로 운영 개선 및 마진 향상 도모
  • 5,000만 달러 대출 확보로 유동성 강화 및 재무 안정성 확보
  • 최근 분기 실적이 예상치보다 양호해 손실 폭 축소 추세
  • 현재 주가가 CEO 평균 매수 단가 대비 할인된 수준

부정 요소

  • 지속적인 매출 감소로 2025년 2분기 전년 대비 11% 하락, 3분기도 1% 감소
  • 여전한 적자 상황으로 EBITDA 손실 1,020만 달러 기록
  • CFO와 CLO의 정기적 매도로 경영진 내부 시각 차이 존재
  • 온라인 교육 시장 경쟁 심화 및 팬데믹 이후 성장 둔화 지속
  • 미국 소비자 심리 악화로 교육 서비스 지출 여력 제한 가능성

전문가

에듀테크 섹터 관점에서 Nerdy의 상황은 매우 흥미롭다. CEO의 극단적 매수는 내부 정보에 기반한 강한 확신을 시사하지만, 지속되는 실적 부진은 우려스럽다. AI 플랫폼 도입과 비용 효율화 노력은 긍정적이나, 온라인 교육 시장의 성장 정체와 경쟁 심화가 걸림돌이다.

전일종가

$1.2

+0.13(12.15%)

최근 1년간 내부자 거래 평균 데이터

$1.69

매수 평단가

$1.42

매도 평단가

$11.92M

매수 대금

$817.12K

매도 대금

기사와 관련된 거래

거래일

공시일

내부자명

직책

거래유형

평단가

거래대금

11/26/2025

11/26/2025

매도

$

Nerdy($NRDY)는 온라인 개인교습 플랫폼을 운영하는 소형주로, 시가총액 약 2억 1,500만 달러 규모의 에듀테크 기업이다. 이 회사가 투자자들에게 극도로 흥미로운 딜레마를 제시하고 있다. 한쪽에서는 CEO가 개인 자금 2,800만 달러 이상을 쏟아부으며 자사주를 매수하고 있고, 다른 쪽에서는 분기마다 수익 감소와 적자를 기록하는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Charles Cohn CEO의 매수 패턴이다. 2024년 6월부터 시작된 그의 매수 행진은 단순한 경영진 신뢰 표현을 넘어선 수준이다. 6월 한 달간만 총 212만 주를 374만 달러에 매수했고, 주가가 1.59달러에서 0.83달러로 급락한 8월에는 더욱 공격적으로 나섰다. 8월 16일과 19일 이틀간 무려 1,316만 주를 1,207만 달러에 매수한 것이다. 이는 당시 회사 시가총액의 상당 비중을 개인이 매입한 셈이다. Cohn CEO의 매수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2024년 11월부터 12월까지 또 다시 대규모 매수에 나서며 총 1,403만 주를 1,759만 달러에 추가 매입했다. 가장 최근인 2025년 11월에도 73만 주를 72만 달러에 사들였다. 18개월간 그가 투입한 자금은 총 2,800만 달러를 훌쩍 넘는다. 이는 현재 시가총액의 13% 이상에 해당하는 천문학적 규모다. 문제는 이런 CEO의 확신과 달리 회사의 실제 성과는 여전히 부진하다는 점이다. 2025년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4,526만 달러를 기록했고, 주당 7센트의 적자를 냈다. 비록 예상 적자 10센트보다는 나았지만 여전히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3분기에도 매출 3,7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 감소했으며, EBITDA 손실은 1,020만 달러에 달했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다른 임원들의 행동이다. CFO Jason Pello와 CLO Christopher Swenson은 정기적으로 주식을 매도하고 있다. 이들의 매도는 주로 제한주식 베스팅에 따른 세금 납부 목적이지만, CEO의 대규모 매수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이사 Abigail Blunt만이 소규모나마 간헐적으로 매수에 동참하고 있다. Nerdy는 AI 기반 Live Learning Platform 2.0 출시를 통한 운영 개선과 원가 절감, 가격 인상을 통해 마진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5,000만 달러 규모의 대출을 확보해 유동성을 강화했다. 회사는 2025년 4분기 매출을 4,500만-4,700만 달러로 전망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평가는 '보유'이며, 목표주가는 2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약 57% 상승 여력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CEO가 생각하는 내재가치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투자자들은 두 가지 상반된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한다. 첫 번째는 CEO가 옳다는 시나리오다. 회사 내부 정보에 가장 정통한 그가 이토록 확신을 가지고 자금을 투입한다면, 아직 시장이 알지 못하는 긍정적 변화나 사업 기회가 있을 수 있다. AI 교육 플랫폼의 잠재력이나 비용 구조 개선 효과가 예상보다 클 가능성도 있다. 반대로 CEO가 잘못 판단하고 있다는 시나리오도 무시할 수 없다. 온라인 교육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팬데믹 이후 성장 둔화가 지속되고 있다. 2025년 11월 미국 소비자 심리지수가 51.0으로 전년 대비 29% 하락한 상황에서, 교육 서비스에 대한 가계 지출 여력도 제한적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관찰 포인트는 향후 분기별 실적 개선 여부다. CEO의 매수가 의미를 가지려면 매출 증가 전환과 적자 축소가 가시화되어야 한다. 또한 다른 임원들의 매도 패턴 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만약 CFO나 CLO가 세금 목적 외의 매도를 중단한다면 긍정적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위험 요소로는 CEO의 과도한 집중 투자로 인한 개인 유동성 문제와, 만약 사업이 예상대로 개선되지 않을 경우 추가 매수 여력 한계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기회 요소는 현재 주가가 CEO 매수 평균 단가를 하회하고 있어 상대적 저점일 가능성과, 소형주 특성상 긍정적 변화 시 주가 상승폭이 클 수 있다는 점이다.

가입하시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가입 시 아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스크리너의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내부자 거래 뉴스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어요.